군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인구 18만을 목표로 홍성·예산 일원에 내포신도시가 건설됨에 따라 인구감소 등 원도심 공동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 대응코자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군은 충남도 내에서 최초로 설치·운영 중인 홍성군계획상임기획단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전담한 가운데, 오는 12월 5일부터 시행 예정인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맞춰 정부도시재생 선도지역 선정 공모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군은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두 가지 유형 중 ‘근린재생형 선도지역’ 신청을 준비 중에 있으며, 홍성군의 강점인 역사·문화 등을 기반으로 재생사업의 독창성과 실현가능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군 상임기획단에서는 올해 말까지 주민설명회를 거쳐 사업후보지 선정하고, 도시재생위원회 자문 및 심의 후 대상지를 최종 확정짓고 공모에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군은 사업 초기부터 지역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주민이 희망하는 도시재생계획을 수립한다는 전략으로, 한국폴리텍 4대학 홍성캠퍼스 내에 있는 홍성군평생학습센터에서 매주 수요일 오후 4시 「도시재생 주민역량강화 교육」을 무료로 운영 중에 있다.
교육은 도시재생의 이해와 변천사, 사례지역 답사, 우리 마을 들여다보기 등 총 10회 강좌로 구성되어 지난 9월부터 현재까지 4회 강좌가 성황리에 운영됐다.
최근까지 도시쇠퇴에 대한 정책적인 대응은 뉴타운으로 대표되는 재개발, 재건축 등 물리적인 사업 위주였으나, 이 방식이 기존의 주민공동체를 해체함은 물론 경제ㆍ사회ㆍ문화 등 종합적인 도시기능 회복 효과 면에서는 미흡했다는 지적에 따라, 최근 대규모 철거방식에서 벗어나 점진적인 소규모 개선 방식으로 변화하고, 토지나 건물 등의 소유자 중심에서 실제 거주하는 주민을 중심으로 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홍성군의 도시재생사업은 이런 최근의 흐름을 적극 반영해 기존 시가지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사회·경제·문화·환경적으로 재활성화 시키는 한편, 관 주도의 일방적인 추진이 아닌 주민이 직접 도시재생의 방향을 정하고, 직접 시행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주민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홍성군상임기획단의 이기평 연구위원은 “도시재생사업이 지역경쟁력 향상과 원도심을 활성화에 좋은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우선 지역주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며 성공의 요소인 만큼, 주민들 스스로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주민역량강화 교육에 함께 동참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