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실상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국책사업의 첫 단추 꿰기부터 틀어진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행복주택 대안을 제시하고 주민설명회를 다시 여는 등 지역주민과 지자체의 의견을 대폭 수용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시범사업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종전 입장에서 크게 진전된 안을 내어 놓은 것이라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국토부는 가구수를 대폭 축소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대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안에 따르면 목동지구는 2800호에서 46% 줄어든 약 1300호의 행복주택이 들어선다. 잠실은 1800호에서 약 750호(42%)로 축소된다. 송파는 1600호에서 약 600호(38%), 고잔 1500호서 약 700호(47%), 공릉 200호에서 약 100호(50%)로 각각 줄어들게 된다.
목동은 시범지구 중 가장 규모가 컸지만 가구수를 줄여 인구 과밀, 교통 혼잡, 학급 과밀 등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예측했다.
송파·잠실도 교통영향 및 학급수요 문제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여유공간에 체육공원을 조성키로 했다. 안산 고잔은 건물의 층고를 조정하고 주변 임대시장 영향을 줄일 계획이다. 공릉은 여유 공간에 공원을 추가로 확보키로 했다.
국토부는 오는 12~16일 5개 지구별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 지구지정, 지구계획 및 사업계획 수립 등 과정에서도 지자체 및 지역주민과 소통할 ㅂ아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범지구 물량 조정으로 감소하는 가구수는 향후 후속지구 물량에서 확보해 전체 행복주택 공급 물량에는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