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예술의전당은 오는 20일 전환시대 '역사인물 재해석' 세미나의 첫 번째 시리즈로 <최치원을 그리다․기리다>를 오페라하우스 4층 컨퍼런스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다시 동아시아 시대’라는 21세기 역사의 전환시대에 직면하여 우리가 나아갈 바를 1200여년전의 역사인물인 최치원을 통해 구하고자하는 의도로 기획됐다.
고운(孤雲) 최치원(857~?) 은 12세 때 중국 당(唐)나라로 유학을 가서 문명을 떨친 한류의 원조다. 또 유(儒)·불(佛)·선(仙) 삼교를 하나로 회통시켜 ‘풍류(風流)’를 우리나라 고유사상으로 정립한 사상가이자 한문학의 비조다.
지난 6월 박근혜 대통령 방중(訪中)시, 시진핑 주석이 최치원의 시 ‘범해(泛海)’를 읊은 것에서도 볼 수 있듯, 최치원은 한중간 문화교류의 첫 번째 관문과도 같은 존재로 꼽히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문학자와 예술가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최치원이라는 대상을 시대·사회·사상·인물·시문(詩文)·서예·한중관계 등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본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러한 선생의 삶과 사상을 청소년들과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고, 21세기 우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광쩌오휘(匡朝暉) 중국 양주최치원기념관장의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6개 분야에서 최치원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