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과 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회담을 열어 장성택 처형 이후의 북한 정세와 한반도 상황을 평가하면서 향후 대북정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또한 주춤하고 있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 재개 움직임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다.
이 같은 대북정책과 비핵화 문제 등의 논의를 위해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태용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윤 장관을 수행해 출국했다.
조 본부장은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별도로 만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외교장관은 아울러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으로 갈등이 깊어진 동북아 정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일본 아베 총리의 신사 참배 등의 문제에 대해 한미일 3각 협력을 위해서도 일본측이 도발행위를 자제해야 한다는데 양국이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 전시작전통제권 재연기,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협상 등 각종 현안도 회담 의제가 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