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발전의 장벽으로 지목됐던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는 것을 비롯해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것 등이 핵심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금융산업 육성에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규제 완화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여건이 조성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6일 박 대통령은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교육 △보건ㆍ의료 △관광 △금융 △소프트웨어 등을 5대 유망서비스 업종으로 꼽았다.
지난 연말에도 박 대통령은 금융권 수장들을 불러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당시 신제윤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금융위 고위 관계자들은 "대통령이 금융권 수장들을 따로 불러 대화를 나누는 것은 지극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어 연초부터 박 대통령이 금융을 5대 유망업종으로 꼽자 금융권의 기대감은 더욱 높아진 상황. 아울러 금융당국은 박 대통령의 의중에 맞춰 금융산업 육성 방안을 더욱 보완, 강화하려는 모습이다.
금융위 한 관계자는 "금융이 5대 유망업종에 포함된만큼 추가적인 금융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무엇보다 규제완화가 핵심이다.
서태종 금융위 자본시장국장은 "사모펀드 규제 및 상장 요건 완화 등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직 기존에 발표한 정책에서 추가된 것은 없지만, 규제 완화를 더욱 과감히 추진할 방침이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금융위는 사모펀드 설립 시 사전등록제 대신 사후보고제를 적용하고, 사모집합투자업의 경우 금융당국 인가없이 등록만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사모펀드 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서 국장은 "기업들의 주식시장 상장 요건을 완화하고, 상장 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들도 과감히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강조한 것처럼, 수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해외건설 및 플랜트 수출에 맞춤형 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금융당국은 물론이고 금융권도 수출기업 지원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정책금융기관인 수출입은행은 올해 총 76조원의 금융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이중 해외건설·플랜트, 조선해양, 자원개발 등 국가 전략산업에 총 43조원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병래 금융위 금융서비스 국장은 "지난 연말 금융인 간담회와 신년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대통령께서 금융을 주요 육성 분야로 생각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규제완화에 관심이 많으므로 이와 관련해 강력한 추가 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