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한국능률협회 최고경영조찬회 강연에 앞서 "진의가 어떻든 정책의 대상이 되는 국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면 해명이 아닌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어제 오늘 말의 무거움을 많이 느꼈다"며 "어떤 정책을 피력할 때는 늘 듣는 사람보다는 말하는 사람의 책임이 크다"고 덧붙였다.
현 부총리는 "하루 빨리 이번 사태를 수습하고 개인정보 보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사람으로서의 도의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현 부총리는 23일에도 기재부 대변인을 통해 "불안과 불편을 겪고 계시는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무척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한 바 있다.
현 부총리의 연이은 사과는 지난 22일 경제관계장관회의 직후 한 발언에서 비롯됐다. 그는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어리석은 사람은 무슨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진다", "금융 소비자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부터 신중해야 한다", "우리가 다 정보제공에 동의해줬지 않느냐"고 발언해 파장을 일으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