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도위험지표(CDS 프리미엄)는 한 달여 만에 20bp(1bp=0.01%)나 뛰어올랐다. 원·달러 환율도 한달만에 30원 상승했다.
정부는 이번 불안이 금융 뿐 아니라 수출 등 실물경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정책대응을 강화키로 했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28일 "올해 신흥국시장의 둔화 가능성 등 세계경제의 대전환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신흥국 시장의 불안이 생각보다 빨리 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번에는 지금까지의 대외불안요인과 달리 수출 등 한국 경제의 실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긴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르헨티나발 신흥국 시장불안은 이미 전 세계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페소화 가치는 외환보유고 급감, 30%에 달하는 인플레이션 등으로 23일에만 11.7% 급락했고 러시아, 터키, 멕시 등의 화폐가치도 사상 최저치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지난 주말 미국과 유럽증시는 2%대의 낙폭을 기록했으며 한국과 일본, 중국의 주가는 27일 일제히 하락했다. 아르헨티나, 터키, 남아공, 인도네시아 등 주요 신흥국의 CDS 가산금리도 줄줄이 올랐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양적완화 추가 축소를 단행하면 신흥시장에서의 자금이탈은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위기가 아르헨티나 한 곳에 그친다면 걱정할 일이 아니지만 주변국 또는 한국의 수출 의존도가 큰 동남아시아 등으로 확산하면 수출 등 실물시장의 충격은 불가피하다. 작년 아세안지역으로의 수출은 597억 달러로 전체의 10.7%를 차지했다.
재정건전성, 외환보유고, 경상수지 흑자 행진 등으로 아직까지 다른 신흥국에 비해 낫다고는 하나 한국경제의 상황도 좋지만은 않다.
한국 정부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5년물)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작년 12월18일 55bp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찍은 뒤 27일 74bp까지 치솟았다. 작년말 대비 변동폭은 +8bp로 일본(14), 중국(25), 브라질(18), 러시아(22) 등 보다 적지만 안심할 단계는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2일 장중 한때 달러당 1,050원이 무너졌지만 원화는 한 달도 채 안돼 1,083.6원(27일 종가기준)으로 껑충 뛰는 등 불안한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국제금융시장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거시건전성 3종 세트를 중심으로 대응력을 높이고 중소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책 확대 등 정책적 대응을 모색할 예정이다.
게다가 한국경제는 대내적으로 10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한계기업, 취약업종 자금난 등 민간 부문의 건전성 악화가 심각하고 이로인해 내수시장이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6월로 다가온 지방선거, 여야간 정쟁 등도 경제회복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