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시가 각 동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내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소 등을 위해 올해 초부터 시행한 주민센터마다 취업상담사를 고정·상시 배치하는 사업이 완료된 것이다.
‘동 담당 취업상담사’라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계해서 시민과 지역 기업의 구인·구직 요구를 충족하며, 시민의 자립·자활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는 경제정책이자 적극적 복지사업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특히 시는 취업상담사가 동에 상주 근무함으로써 지역 내 약 1천300개의 기업이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력을 신속·정확하게 구하고, 시민의 취업 성공률이 대폭 향상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순형 지역경제과장은 “동 주민센터 취업상담사 상시 배치로 대부분이 소규모인 군포 지역 기업체들의 필요 인력 구인난 해소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시민들은 집 가까이에서 취업 지원·상담을 받을 수 있는만큼 편리함은 커지고 부담은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