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금해제, ‘그리고 두드리고’ 스마트폰을 깨워라

  • 삼성전자, 곡선 그리는 방식 특허 출원…LG, 소니는 두드리는 방식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 =비밀번호, 패턴, 지문 인식에서 두드리고 그리기까지.

스마트폰을 켜고 잠금 해제하는 방법이 진화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에 가상의 그림을 그려 교차점 유무로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내용의 특허를 출원했다.

특허청이 운영하는 특허정보넷 키프리스 사이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2년 9월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출원번호 10-2012-0097132)를 출원했다.

 


 

삼성전자가 2012년에 출원한 '이동 단말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특허를 설명하는 그림. (특허청 특허정보넷 키프리스 캡처)


해당 특허는 터치스크린에 가상의 곡선을 그렸을 때 교차점이 있는지 여부와 교차점이 몇 개인지를 판단해 잠금을 해제하는 내용이다.

교차점이 없으면 스마트폰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교차점이 하나면 스마트폰의 홈 화면으로 진입하고 둘 이상이면 미리 설정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당 특허는 아직 삼성전자의 제품에 적용되지 않았으며 향후 적용 계획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LG G프로2



삼성전자가 그리는 방식이라면 LG전자는 두드리는 방식이다.

LG전자는 최근 선보인 스마트폰 ‘LG G프로2’의 ‘노크 코드’ 기능을 통해 화면을 두드려서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노크 코드는 화면을 특정 분면으로 나누고 설정한 순서대로 터치하면 화면을 켜는 것과 잠금 화면 해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화면을 4부분으로 나누면 각 영역에 1~4의 숫자가 부여된다.

비밀번호를 ‘1234’로 설정하면 1번 영역부터 4번 영역까지 순서대로 터치하면 화면이 켜지면서 홈 화면으로 진입하는 방식이다.

소니가 선보일 예정인 스마트폰 신제품 ‘엑스페리아Z2’에도 화면을 터치해서 켜는 ‘Tab to wake up’ 기능이 탑재된다.

LG전자 G프로2와 유사한 방식으로 화면을 두드려 켜는 방식이다.

이 기능은 기존 소니의 엑스페리아 태블릿에 ‘두드려서 깨우기’라는 이름으로 탑재된 바 있다.

비밀번호에서 시작된 잠금 화면 해제는 패턴과 지문인식을 거쳐 두드리고 그리는 방식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