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이날 '법적, 도덕적 의무에 충실해야 한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최근 일본에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와 식민지배와 침략을 인정하고 사죄하는 무라야마담화에 대한 수정 논란을 거론하며 같이 밝혔다.
신문은 "엄청난 정신도덕적ㆍ인적, 물적 피해를 입히고서도 시치미를 떼는 일본과 막대한 재난을 당하고 아무런 사죄도 배상도 받지 못한 우리 공화국 사이의 관계가 바로 되자면 무엇이 필요한가는 누구에게나 명백하다"라며 "조일 관계 개선 문제가 해결되자면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역사적 미결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지난달 1년4개월 만에 재개된 일본과의 대화에서 일제 강점기 과거사 청산을 요구한 바 있다.
신문은 "일본이 과거범죄를 청산하는 것은 단순히 사죄와 배상에 관한 문제만이 아니다"라며 "그것은 일본이 국제사회의 한 성원으로 떳떳이 살아갈 수 있는 자격을 갖추는가 못 갖추는가를 보여주는 문제인 동시에 세계의 평화, 인류의 미래와 관련되는 정치도덕적 문제, 국제법적 문제"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