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환경부, "여수 우이산호 유출…방제작업 주민 '건강 양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17 18: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부 주민 증상 유류유출 사고 "급성증상일 뿐"

  • 단 만성적인 건강영향 판단 "추가적 추적·관찰 실시할 것"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지난 1월 말 여수 앞바다 유류 유출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주민들의 건강상태가 우려할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이 우이산호 유류유출 사고지역 인근에서 방제 작업한 신덕동 주민 102명(조사군)과 상암동·만성리 등 거주 주민 24명(대조군)을 조사한 결과 건강영향이 우려되는 수준은 아니다.

지난 1월 31일 국적 싱가포르의 우이산호는 여수 GS칼텍스 하역부두 송유관과 충돌하면서 유출된 유류로 인해 인근 주민들은 이상 증상을 호소해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사고지역 인근 주민들의 소변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대사체 농도를 분석하는 등 2월 7일부터 9일까지 주변 지역주민의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해왔다.

이번 조사는 유류에 대한 인체노출 정도를 평가하고 사고 이후 한 달간 지역 병원 3개소의 진료현황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조사군은 VOCs인 벤젠과 에틸벤젠의 대사체인 뮤콘산, 페닐글리옥실산이 각각 72.2·319㎍/g-creatinine(㎍/g-cr)으로 나왔다. 대조군의 경우는 48.5, 292㎍/g-cr로 우리나라 일반인의 49.8, 265㎍/g-cr보다 다소 높았다.

아울러 PAHs의 경우 나프탈렌 대사체인 2-나프톨은 조사군이 4.73㎍/g-cr으로 기록됐다. 대조군은 3.71㎍/g-cr로 우리나라 일반인의 3.65㎍/g-cr보다 높다.

또 여수성심·제일·여천전남 등 지역 3개 병원의 진료자료를 분석한 결과에는 신덕동 등 한 달간 병원을 찾은 주민 341명 중 총 19명이 입원 치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의 주요 증상은 구토, 어지럼증, 안과·소화기·호흡기 등이다. 현재 입원환자들은 모두 퇴원한 상태로 사고 3주 후 96%가 병원이용을 하지 않았다.

이를 놓고 환경부 측은 “이번 사고 및 방제작업 참여로 인해 주민들의 유류로 인한 오염노출 증가가 있었으나 시료 중 대사체 농도가 미국 등 국외의 권고기준보다 낮아 건강영향이 우려되는 수준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이어 “병원을 이용한 주민들의 주요증상은 유류유출 사고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급성증상”이라면서 “치료 및 시간 경과에 따라 호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만성적인 건강영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