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 국내 어린이 안전사고 비율이 미국과 호주 등 선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접수한 14세 이하의 어린이 안전사고 비율은 전체 안전사고 18만1627건 중 37.4%(6만7951건)로 미국(30.2%)이나 호주(12.4%)보다 높았다.
성별로는 남자 아이의 사고(60.9%)가 여자 아이(38.5%)보다 많았다. 발달 단계별로는 1∼3세의 걸음마기의 안전사고(49.6%)가 가장 많았고, 4∼6세 유아기(21.5%), 7∼14세 취학기(20.6%), 1세 미만의 영아기(8.4%) 순으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했다.
발단 단계별 사고 유형을 보면 영아기는 침대 등 가구에서 떨어져 다치는 사고(35.2%), 걸음마기에는 방이나 거실 등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13.5%), 유아기에는 가구에서 떨어지는 사고(19.8%)가 가장 많았다.
외부 활동이 늘어나는 취학기에는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부딪히거나 넘어지는 사고(14.2%)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중 치료기간을 1개월 이상 요하는 중상은 0.8%(548건)를 차지했다. 특히 손이나 손목이 잘리는 사고도 56건 접수됐다.
사고 장소는 가정 내(65.6%)가 가장 많았고 교육시설(7.7%), 여가 및 문화놀이시설(7.5%) 등이 뒤따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