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병규 기자 = 정부 대학 특성화사업 신청을 마감한 결과, 대학들은 가산점을 받기 위해 2017년까지 입학정원을 2만명 정도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대학 특성화사업을 접수한 결과 160개 대학에서 989개 사업단이 신청했으며, 이들 대학이 2017년까지 평균 6.8% 정원을 줄인다는 계획을 내놨다고 밝혔다.
이 대학들의 2014학년도 기준 정원이 30만명 정도 되므로 2017년까지 약 2만명 줄이는 셈이다.
대학 특성화사업은 대학의 강점 분야 중심으로 특성화 기반을 조성해 체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올해 지방대학에 2031억원, 수도권 대학에 546억을 지원하는 등 5년간 1조2000억원이 들어간다.
교육부는 이번 사업에서 2015∼2017학년도 입학정원을 2014학년도 대비해 10% 이상 감축하면 가산점 5점을, 7% 이상∼10% 미만은 4점, 4% 이상은 3점을 주기로 하면서 대학들은 사업 신청에 이 같은 정원 감축 계획을 넣은 것이다.
전국 대학 평균에 비해 수도권 대학은 평균 3.8%, 지방대학은 8.4%로 차이가 났다.
권역별로 보면 서울권이 3.0%로 가장 낮았다. 수도권에 속하는 경기·인천권이 5.1%로 그다음이었다.
이 가운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건국대, 동국대, 포항공과대(포스텍) 등 10여곳은 정원을 전혀 감축하지 않기로 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는 정원감축에 따른 가산점을 받지 않더라도 특성화사업에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 정원 감축 계획을 내지 않았다. 동국대는 2007년에 정원을 10% 줄여 이번에 줄이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는 최근 3년간 정원감축 추진실적도 평가에서 인정해 주기로 했지만 동국대의 경우 인정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반면 부산·울산·경남(8.0%), 대구·경북·강원(8.3%), 호남·제주권(9.2%), 충청권(9.2%) 등 지방대학은 감축률이 높은 편이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김일수 지역대학육성과장은 "서울은 정원을 전혀 줄이지 않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 대부분 가산점을 받기 위한 최저 수준인 4% 감축을 수립한 것 같다"면서 "하위권 대학이 몰린 지방의 경우 미리 정원을 줄여 가산점을 받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의 경쟁률은 평균 3대 1, 수도권 대학은 4.6대 1을 기록했다.
인문ㆍ사회계열이 43%, 예체능계열이 10%로 과거 재정지원 사업에서 다소 소외됐던 인문ㆍ사회ㆍ예체능계열의 참여 확대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이들 계열을 위한 별도의 '국가 지원 유형'을 신설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건축+시각디자인', '물리치료+뷰티미용' 등 학과간 융·복합형으로 구성한 사업단이 전체 67%에 달한 것도 올해 나타난 특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