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6·4 지방선거의 복병으로 떠오른 사전투표제를 놓고 여야의 셈법이 분주하다. 사전투표제는 오는 30∼31일 이틀간 진행된다.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제가 처음으로 실시되는 만큼 여야는 어느 쪽에 유리할지 이해득실을 따지며 주판알 튕기기에 한창이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사전투표제에 따른 선거전략 수립에 돌입했다. 새누리당은 ‘높은 투표율=야당 유리’ 공식이 깨진 만큼 5060세대 투표율 제고에 사활을 건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사전투표준비위원회를 만들어 대대적인 홍보에 돌입했다.
새정련 사전투표준비위원장인 이찬열 의원은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사전투표제 시행으로 4년 전 지방선거 때보다 투표율이 8∼10%포인트 높아질 것”이라며 “이것이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실제 지난해 4·24 재·보선 사전투표율을 보면 서울 노원병 8.4%, 부산 영도 5.9%, 충남 부여·청양 5.6%를 각각 기록했다. 사전투표제가 승부의 당락을 결정짓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다.
반면 새누리당 측은 투표율이 높으면 투표 충성도가 높은 고령층의 투표율이 높아져 불리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이는 지난해 대선 때도 증명됐던 부분이다.
눈여겨볼 대목은 세월호 참사 이후 부동층이 급격히 늘었다가 선거 막판 다시 보수와 진보 진영이 총결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사전투표제가 양 진영의 총결집과 세대별 투표율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날 발표된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5월 둘째 주 정례조사 결과에서 부동층은 지난주 대비 5.7%포인트 하락한 25.4%로 조사됐다. 선거 막판으로 흐를수록 진영 대결이 펼쳐진 전례가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이 경우 30일 실시되는 사전투표율도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정식 선거일보다 4∼5일 앞서 실시되는 사전투표제가 어느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지도 관심사다. 사전투표제를 하는 유권자들은 내달 초 선거변수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새정련 한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로 정부에 대한 비토 심리가 높은 점을 감안하면 사전투표제는 야권 표일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라며 “높은 투표율에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 비판론보다는 ‘정치 무능론’이 대두된 만큼 사전투표율 등이 높아질지는 미지수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세월호 참사는 단순히 여당에 대한 심판이 아닌 정치권 전체의 문제”라며 “오히려 정치 불신이 심화돼 투표율이 낮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