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코트라, ETRI과 유휴 R&D 장비 신흥국에 이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30 09: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코트라(KOTRA)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유휴, 불용, 저활용 R&D 장비(이하 유휴장비)를 신흥국에 이전하기 위한 MOU를 29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KOTRA와 ETRI는 1차적으로 초음파 측정기, 무선 네트워크 분석기, 주파수 카운터 등 유휴장비 11점을 미얀마의 정보통신분야 연구기관인 미얀마 우편통신국(Myanmar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Department)과 통신우편훈련센터(Telecommunications and Postal Training Center)에 이전키로 했다. 코트라는 신흥국에서 ETRI와 유사한 현지연구기관 한 곳에 유휴장비를 집중 지원하여 ETRI의 전략적 파트너로 육성할 계획이다.

양측은 이전된 유휴 R&D 장비와 적정기술은 신흥국의 과학 산업 발전과 한국형 산업표준 이식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우리 R&D 장비산업의 부품·장비의 수출과 장비의 수리, 부품공급, 운용교육, 컨설팅 등의 R&D 서비스 산업 해외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국공립 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유휴장비의 활용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업은 코트라가 하반기부터 추진하는 생산설비·장비, 공공서비스 장비(소방차, 구급차 등), R&D 장비 등의 3가지 종류의 국산 유휴장비를 신흥국에 이전하는 사업의 일환이다. 코트라는 우리기업의 전업, 폐업 등으로 발생한 국산의 유휴 생산 장비 및 공공서비스 장비, R&D 장비 등을 해외에 이전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신흥국을 도우면서 우리 관련기업의 현지진출까지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코트라는 이를 위해 각 부문별 유관기관인 한국기계공업진흥회, 소방방재청,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영호 코트라 사장은 "우리나라가 무역대국의 입지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흥국을 단순히 수출과 투자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상대국의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는 쌍방향의 글로벌 상생협력 전략이 필요하다"며 "유휴 R&D 장비 이전사업은 신흥국과 우리나라의 상생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