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빅데이터연합회는 24일 첫 조찬토론회를 열고 데이터거래소 설립 계획과 데이터산업 발전전략 등을 논의했다. 연합회는 지난달 29일 미래부가 산·학·연 10개 기관과 단체를 모아 출범시킨 빅데이터 공동 협력단체다.
데이터거래소는 각 기업과 정부기관 등에서 모은 다양한 데이터의 규격을 맞춰 한 곳에서 매매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을 말한다. 증권거래소나 앱스토어처럼 체계화된 데이터 장터를 만들어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한국에 데이터 거래소가 생기면 세계 첫 사례가 된다.
김승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통계정보센터장은 “통신사와 백화점 등 기업이 가진 방대한 데이터는 자사보다 타사에 도움이 되는 사례가 많다”며 “기업 간 데이터를 주고받아 협업을 활성화하려면 데이터거래소가 필수”라고 말했다.
데이터거래소가 갖춰야 할 요건은 △데이터의 품질 보증 △계약 이행 보증 △개인정보·지식재산권 문제 해결 등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Azure) 데이터마켓이나 국내 데이터베이스스토어처럼 기업·기관별로 각자 만든 데이터 마켓은 이미 있다”며 “데이터거래소를 세우려면 이보다 더 광범위한 거래를 위해 품질 보증 등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합회는 데이터거래소 설립을 위해 현황 분석부터 포커스그룹 인터뷰, 데이터거래소 모델 타당성 검증 등 장기간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또 그는 "이 같은 데이터거래소 논의가 나온 이유는 현재 유통되는 데이터들의 규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라며 "각 기업과 기관에서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쓰다 보니 협업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식 케이웨더 대표(한국DB산업협의회 부회장)는 “‘정부 3.0’ 패러다임을 위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지만 기관별로 하고 있어서 기업이 어디서 데이터를 얻어와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한다”며 “정부 예산도 낭비돼 현실적으로 일원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참석자들은 빅데이터 거래소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침해문제 해결과 저작권 분쟁 등 얽힌 실타래부터 먼저 풀어야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