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나카무라 교수 "중소기업서 노벨상 수상자 나온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0-22 05: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나카무라 슈지 교수.[서울반도체 제공]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나카무라 슈지 미국 산타바버라 캘리포니아 대학교 재료물성학과 교수가 22일 방한해 서울반도체를 찾아 강연했다. 청색 LED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세계적인 LED 석학 나카무라 교수는 서울반도체의 기술고문이며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나카무라 교수는 “매 분기에 한 번씩, 1년에 총 4차례 서울반도체와 서울바이오시스를 방문해 중앙연구소 연구원들과 LED 제품 개발에 대해 논의한다”며 “10년 전부터 공동연구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2010년부터 기술고문도 맡았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이미 1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그 비결에 대해 나카무라 교수는 “한국이 대기업이 강해 전체를 컨트롤 하는 반면, 일본에는 작은 기업들이 많다”는 것을 이유로 꼽았다. 다만, “10년 안에는 한국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것”이라며 “한국도 노벨상에 가까이 왔다”고 덕담했다.

그는 “특허로 회사에 매출을 안겨준 연구원에게 합당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며 “예를 들면, 스톡옵션을 줘 나중에 IPO 등을 통해 큰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대기업 연구원을 고집하는 한국 학생들의 풍토에 대해서도 물었다. 나카무라 교수는 “한국의 안랩과 같이 성공한 작은 회사가 한국에서도 많이 나와야 한다”며 “그래야 학생들이 그러한 성공스토리를 접하고 작은 회사에 들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대기업 연구원은 단지 샐러리맨이다. 자유롭게 연구할 수 없고 보상도 없다”고 꼬집기도 했다.

나카무라 교수는 “일본에는 중소기업이 많은데 한국은 삼성과 LG 등 5개 대기업이 모든 경제를 컨트롤 한다”며 “실제로 노벨상을 받은 일본인은 학교를 제외하고 중소기업 소속이었다. 대기업에서는 상사가 많아 ‘미친 짓’을 할 수 없다. 노벨상을 받으려면 미친 짓을 해야 한다.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 때마다 상사의 승인을 받는 대기업에서는 노벨상이 나오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나카무라 교수는 자신이 한 ‘미친 짓’으로 “개발 당시에 청색 LED를 징크셀레나이드(ZnSe)으로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통설이었는데 갈륨나이트라이드(GaN)을 이용했다”며 “주변 사람들은 나에게 '미친 짓을 한다'고 했다”고 일화를 털어놓았다.

나카무라 교수는 1979년 니치아화학공업 연구원으로 입사했다. 개인사정으로 일본 도쿠시마에 있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니치아화학공업은 TV 브라운관 등에 쓰이는 형광체를 제조하는 기업이었다. 매출 300억원 규모의 작은 회사였다.

나카무라 교수는 “니치아화학공업 창업자에게 청색 LED를 개발하겠다고 했고 물심양면으로 투자를 해줬다”며 “이는 작은 회사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LED 시장 전망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나카무라 교수는 “차세대 LED 시장을 이끌어 갈 제품으로 서울바이오시스의 UV(자외선) LED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며 “UV LED는 살균 효과가 뛰어나 공기청정기, 정수기, 치료 장치, 탈취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서울반도체의 자회사인 서울바이오시스는 전 파장대의 UV LED를 생산할 수 있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기업이다. 앞으로 UV LED 시장이 커지면 서울바이오시스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치켜세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