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05/20141205104935826065.jpg)
검찰이 '비선 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문건의 유출 과정을 수사 중인 가운데, 조응천(52)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조사를 받기 위해 5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했다.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조 전 비서관은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경정이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 근무할 때 직속상관으로,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 소환에 응했다.
이날 오전 9시 58분께 검찰청에 혼자 들어선 조 전 비서관은 문건 작성을 지시했는지 묻는 취재진에 "주어진 소임을 성실하게 수행했고 가족과 부하직원들에게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았다"며 "검찰에서 진실을 성실하게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조 전 비서관을 상대로 박 경정이 문건을 작성한 경위와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문건이 유출된 의혹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그는 청와대에서 나오기 전인 올 1월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정씨가 이재만 총무비서관 등 청와대 핵심 비서관들과 매월 정기적인 모임을 하며 국정에 개입한다는 취지로 구두보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비서관은 최근 조선일보 인터뷰에서는 "정윤회씨가 올 4월 이재만 총무비서관과 연락했다"고 폭로했다.
이재만 비서관은 올 7월 국회 운영위에서 "2003년인가, 2004년 정씨를 마지막으로 만났다"며 정씨와 연락하지 않는 것처럼 말했지만, 조 전 비서관의 폭로로 인해 둘 사이에 실제 전화통화가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조 전 비서관은 또 박 경정이 작성한 문건의 신빙성이 60% 이상 된다며 '근거없는 찌라시'라는 청와대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기도 했다.
정윤회씨가 박 경정으로부터 문건과 관련해 '위에서 시키는 대로 타이핑만했다'는 답을 들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검찰은 조 전 비서관에게 정씨 동향을 파악하도록 지시했는지, 사실관계 등을 확인했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아울러 조 전 비서관이 문건 유출의 범인으로 제3자를 지목한 민정보고가 있었다고 주장한 점과 박 경정이 청와대를 나올 때 다량의 문건을 갖고 나왔던 정황을 알고 있었던 점을 고려해, 청와대 문건 유출 경위도 캐물을 계획이다.
조응천 전 비서관은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안봉근 비서관 등 핵심 3인과 갈등을 겪던 와중에 박 경정이 경찰로 원대복귀한 지 2개월만인 올 4월 물러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