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11/20141211105354485922.jpg)
조현아 대한항공 부사장.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이른바 '땅콩 리턴' 사건과 관련한 정부의 조사가 사실확인 단계에서 정체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대한항공 램프리턴 사건과 관련해 조사팀(8명)을 구성하고 즉시 조사에 착수해 현재까지 기장, 객실 승무원 등 총 10명에 대해 사실조사를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그러나 승무원 간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어 보다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당시 탑승객에 대해 참고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 부사장에 대한 조사는 당초 오는 12일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대한항공 측에서 "출두가 어렵다"고 전해 차질을 빚게 됐다.
국보투 관계자는 "대한항공 측에 탑승객 명단 및 연락처를 요청했으나 개인정보보호 등을 이유로 정보가 넘어오지 않고 있다"며 "탑승객들이 자발적으로 협조해 준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부사장에게는 재차 출두를 통보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항공법 및 항공보안법의 적용여부 등을 검토해 위반 사항이 있는 경우 법령에 따라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앞서 조 부사장은 지난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JFK공항에서 인천으로 가는 KE086 항공기가 이륙을 준비하던 중 기내 서비스를 문제 삼아 담당 사무장을 내리게 해 논란을 빚었다. 회사에는 현재 사표를 제출한 상태다.
참여연대가 조 부사장을 서울서부지검에 고발한 것과 관련해서는 "법리적인 판단에 대해 국토부와 검찰이 해야할 부분이 다르다"며 "검찰 조사와 별개로 주무부처로서 항공법 등에 의거해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