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전북 탄소산업, 부가가치 무한 잠재력


아주경제 최규온 기자 =전북도가 4일 탄소산업을 중심으로 전북경제를 도약시키기 위한 본격적인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전북도가 이처럼 탄소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선택한 이유는 탄소산업이 전·후방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막대한 데다 대한민국을 먹여살릴 수 있을 정도로 연평균 10%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와 학계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5년 자동차 시장의 경우에만 1,000조원대에 달하는 신시장 창출이 전망된다. 탄소원료도 618억불(70조원), 응용분야는 8,034억불(880조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돼 탄소산업이 국가적 과제로까지 부상한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탄소산업이 현재 자동차와 건설, 토목, 항공, 스포츠 등에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재생, 수송, 스포츠, 전자분야 등 미래 활용가치가 높은 창조산업으로 원료에서 부품, 완제품으로 갈수록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전북도는 현재 국내 탄소 소재 생산점유율이 3% 미만 규모에 불과하다. 그러나 계획대로 육성전략이 추진될 경우 오는 2020년에는 생산규모가 10%로 올라서 우리나라가 세계 10대 탄소섬유 생산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관련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럴 경우 기술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고 국제적 위상도 높아질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에서도 매년 20% 내외 성장하는 탄소섬유는 2020년 원사 5조 3,200억원, 원사를 활용한 복합재 시장규모가 53조원으로 예상될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전북이 국내시장 25% 점유시 생산이 1조원에 부가가치가 5,200억원이 유발돼 7,1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지역경제가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이란 분석도 곁들여 졌다.

전북도는 2020년까지 탄소관련 기업 190, 매출 8조원, 고용 2만1000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또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를 계기로 탄소관련 혁신기관 집적화를 확대해 조선·해양·농기계·자동차산업 등 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타 성장동력과도 연계해 탄소산업을 도내 전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통해 탄소관련 첨단 업종과 자본집약적 산업구조로 지역산업을 고도화 시키는 등 명실공히 국내적 위상도 한층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전북도는 오는 2020년까지 6,300명의 탄소 전문인력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따라 취업연계 융·복합 과정, 대학 특성화 과정, 탄소기술교육센터 신규 및 재직자 과정을 운영하면서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이 협력해 맞춤형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등 인재양성의 요람으로도 만든다는 전략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탄소산업 육성은 단순히 전북만 잘 살자고 하는 일이 아님”을 강조하하면서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산업으로 성장시켜 나가기 위해 도정의 온 힘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