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화정' 광해 차승원-정명공주 이연희, 제목에 숨어있는 운명...'화정' 뜻 알고보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3-24 09: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화정 예고편]

아주경제 박효진 기자 = '화정' 광해 차승원-정명공주 이연희, 제목에 숨어있는 운명...'화정' 뜻 알고보니

배우 차승원과 이연희가 주연을 맡은 MBC 월화드라마 '화정'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빛나거나 미치거나’ 후속으로 기획된 드라마 ‘화정(華政)’은 당초 ‘화려한 정치’나 ‘정명공주’ 등으로 알려졌었다.

‘화정’은 한자어로 ‘빛’ 혹은 ‘꽃’으로 해석되는 화(華)에 보통 ‘정치’라는 단어에 쓰이는 ‘다스릴 정(政)’자를 사용한 단어로 해석하자면 ‘빛나는 다스림’ 정도로 의미를 볼 수 있다.

‘화정’은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광해군과 인조에 이르는 시간을 담는 50부작의 대하 사극이다.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가 광해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게 되는 부분부터 인조가 반정을 통해 집권하는 시간 동안의 이야기가 선조의 유일한 적통 공주였던 ‘정명공주’의 삶과 함께 큰 스케일로 펼쳐질 예정이다.

정명공주는 1603년 조선 선조 첫째 공주이자 영창대군의 누나로 태어났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영창대군을 역모죄로 사사하고 정명공주의 어머니인 인목대비를 서궁으로 폐출시킬 때 함께 감금됐다.

인조반정 후 공주로 복권되고 중추부동지사 홍원의 아들 주원에게 시집을 갔다. 이후 인목대비가 사망한 후 궁중에서 무도한 백서가 나와 의심을 받기도 했지만 숙종이 즉위하고 후대를 받았다.

정명공주는 1685년 숙종 11년에 83세를 일기로 사망했는데 이는 조선시대 공주 가운데 가장 장수한 기록이다.

‘화정’은 ‘남자가 사랑할 때’를 맡았던 김상호 PD가 연출을 맡고 ‘이산’ ‘동이’ ‘마의’ 등 MBC에서 굵직한 대하 사극으로 흥행과 작품성을 모두 인정받은 바 있던 김이영 작가가 집필을 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