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인천국제공항공사]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국토교통부가 25일 제2차 항공정책고객위원회의를 개최해 공동운항편 정보제공 확대와 인천공항 주차장 확대 등을 논의하고 단계적으로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항공정책고객위원회가 이날 제안한 주요 과제는 △ 공동운항(Codeshare)에 대한 명확한 정보 제공 △ 항공편과 대중교통간 스케줄 연계 강화 △ 인천공항 주차장 확충 △ 항공소비자정책 전담팀 구성 등이다.
위원회는 먼저 항공사간 협정을 맺어 1개의 항공기만 운행하는 공동운항에 대해 탑승 항공기, 운임차이, 탑승수속 카운터 등의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공동운항편 이용객은 연간 약 126만명이다. 그러나 실제 운항 항공사나 운임 차이 등 기본 정보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 그간 소비자의 불만이 이어져왔다.
위원회는 이미 개선에 합의한 아시아나항공을 시작으로 정보 공개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국토부와 지자체, 공항공사 간 협의를 통해 지방공항의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 및 항공편과 대중교통 스케줄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그 첫 사례로 청주공항의 버스노선을 종전 1일 50회에서 131회로 2.6배 증차하고, 항공스케줄과 연계해 버스 운행시간을 조정했다.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오는 12월부터 승차장내 실시간 버스운행정보 안내 단말기를 설치, 공항버스의 출·도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인천공항 주차장도 기존 1만3893면에서 1만7703면으로 3810면 늘려 주차난을 완화하기로 했다.
또한 위원회는 3월 내 항공소비자정책 전담팀을 구성, 항공 이용자의 눈높이에서 지연, 결항, 마일리지 제도 등 국민 관심이 높은 사안에 대한 가시적인 제도 개선을 꾀한다.
특히 항공사 마일리지와 관련해서는 제도개선 전담팀을 만들어 오는 상반기 중 개선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한편 국토부는 최근 왜곡 보도 논란 및 관련 식음료 광고 출연 등으로 물의를 빚은 이영돈 PD의 항공정책고객위원회 위원장직을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위원회 내에서 이영돈 PD의 거취를 논의한 적은 없으며, 임기도 8개월 가까이 남았다"면서 "이 PD는 지난 제1차 회의에서도 소비자 시각에서 여러 문제점을 제기하는 등 그간 적극적으로 위원장직을 수행해왔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