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밀수 농약 극성…농진청 특별단속 실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4-13 13: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사용 피해 구제 방법 없어…농가 각별한 주의 당부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검증되지 않은 밀수 농약 사용으로 농가의 피해가 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유관기관과 밀수농약 유통근절 홍보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밀수농약 특별단속 등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일부 과수 주산단지 농가는 은밀히 공급되는 생육촉진용(지베렐린 도포제) 및 응애방제용(아바멕틴 유제)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밀수농약을 사용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보상이 가능한 국내 정식 제품과 달리 구제받지 못하므로 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농진청 관계자는 "중국산 지베렐린도포제는 값싼 증량제와 원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약액이 흘러내리거나, 과경이 검게 변하여 물러지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며 "아바멕틴유제는 정제가 덜된 원제를 사용해 국내산 제품에 비해 약효가 떨어져 농민들이 애써 지은 한해 농사를 망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농진청은 특별사법경찰관을 활용한 특별단속반을 편성해 밀수농약 주요 사용 시기(5월 중)에 과수주산단지 중심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진청은 해양수산부, 한국작물보호협회, 농협중앙회와 함께 밀수농약 유입경로로 의심되는 주요 5개 국제여객항(인천, 평택, 군산, 목포, 여수항)에 밀수농약 유통근절 홍보물(와이배너, 밀수농약 실사판넬)을 비치한다.

또 한국작물보호협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경기(천안, 안성, 평택), 경북(김천, 상주, 영주), 전남(나주, 장성), 충북(영동, 옥천, 충주) 등 과수주산단지에 밀수농약 유통근절 현수막(150개)을 설치하고 농업인을 대상으로 홍보물을 배포할 예정이다.

박연기 농진청 농자재산업과장은 "점조직 형태로 유통되는 밀수농약의 효율적인 적발을 위하여「부정․불량 농자재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니, 안전한 우리농산물 생산과 농업인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