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지사는 “화석연료 시대 이후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수소연료 전지차의 산업 기반을 육성하자”고 제안하고, “수소차의 엔진에 해당하는 스택, 수소 생산과 이동·저장 시설은 자동차 분야뿐만 아니라 가정용과 산업용 에너지 시설의 기반 기술이 될 수 있는 만큼 미래 에너지산업이라는 큰 그림 속에 이번 사업을 준비하자”고 역설했다.
특히 일본 기타큐슈 지역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수소 발전기 사례를 들고 “도시 가스처럼 수소를 집집마다 공급하고, 가정용 소규모 발전에 활용하는 사례가 있다.
수소로 생산한 전기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저장시설과 이동장비의 가격을 낮추며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또 수소연료 전지차 부품과 산업기반 조성 사업에 자동차 기업 뿐만 아니라, 가정 연료와 가전 업체 등도 참여시켜 연구 결과를 에너지 산업 전반으로 확산시켜보자고 제안했다.
‘수소연료전지차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 사업은 향후 5년간 2,324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되고, 충남도는 도의 특성에 맞게 수소연료전지차의 부품과 수소 스테이션, 인증센터 등 기반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차 사업과 함께 선정된 ‘대산-당진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총연장 24km에 달하는 4차선 도로로 총사업비 6,361억이 소요될 전망이다.
완공되면 대산-당진 간 차량 운행 시간은 현재의 절반인 15분으로 단축되고, 연간 620여 억 원의 물류 관련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