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기업부채의 현황과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5%로 OECD 주요국 15개국 가운데 7번째로 높았다.
이는 맥킨지글로벌연구소의 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연금부채는 제외됐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아일랜드로 189%에 달했다. 이어 스웨덴이 165%, 벨기에가 136%로 높은 수준이었다.
일본은 101%로 우리나라보다 낮았다.
보고서를 보면 2007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45%포인트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기업부채비율이 19%포인트로, 비교 대상 19개국에서 아일랜드와 스웨덴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금부채 등을 포함한 OECD 통계에서는 2012년 기준으로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51%로 조사됐다.
이는 조사 대상인 26개국 가운데 9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 기준에서도 역시 아일랜드가 287%로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의 기업부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기업부채는 1493조원으로 집계됐다.
2011년과 비교해 18.1%(229조원)나 증가한 수치다.
민간기업의 부채는 1214조원으로, 전체 기업부채의 81.3%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대출금이 929조원이며, 장기채권은 256조원, 단기채권은 30조원이다.
공기업 부채는 278조원으로 대부분인 274조원이 채권이다.
민간기업 부채는 2011년에 비해 18.4%, 공기업 부채는 16.8% 늘어났다.
대기업의 부채비율은 2012년 140.1%에서 2013년 133.5%로 낮아졌다. 중소기업 역시 174.3%에서 168.3%로 줄어들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종의 부채비율이 2007년 147%에서 2012년 205%로 증가하고, 도소매와 철강, 비금속 산업의 부채비율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