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현대중공업 등 50개 기관과 'LNG연료추진선' 육성…"2025년 세계수주율 70% 달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15 11: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정부가 현대중공업 등 국내 50개 기관과 함께 액화천연가스(LNG)연료추진선 개발과 LNG급유(LNG벙커링) 기반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전세계 LNG연료추진선 수주율 70%를 달성하고, 친환경선박(에코십)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서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합 등 50개 기관과 '에코십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최근 국제사회에서 강화되는 해양환경 규제에 대응해 LNG연료추진선 개발 및 LNG벙커링 인프라 구축 등 친환경선박과 설비를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LNG연료추진선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으로, 유해가스 배출량을 벙커C유를 쓰는 일반 선박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6조원 규모의 LNG연료추진선 관련 시장은 2025년 148조5000억원까지 급증할 것으로 추정됐다.

로이드선급 등의 조사에서도 전 세계 LNG연료추진선 신규 발주액은 지난해 6조원 규모로 집계됐으며, 올해부터 2025년까지 누적 발주액은 148조5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 역시 선박연료의 황산화물(SOx) 함유량,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여기에 셰일가스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LNG연료추진선과 벙커링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LNG연료추진선과 선박급유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역량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오는 2025년까지 LNG연료추진선 수주율 70%를 목표로 국산화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기술 단계별 로드맵에 따라 해외 의존도가 높은 선박용청정연료 LNG탱크·기화기 개발 등 11개 과제에 237억원을 지원하고, LNG이송용 극저온 호스 등 기술개발에 3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산화개발 이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는 기자재에 대해서는 성능인증절차와 실선탑재 기회를 강화하기로 했다. LNG기자재 성능인증센터를 구축하고, 단계별 탑재 가능한 국산화기자재 목록을 도출·등록해 실선탑재 기회를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벙커링산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통영터미널(가스공사 LNG인수기지)을 벙커링 겸용 터미널로 우선 개발하고 향후 광양(포스코), 보령(SK·GS), 인천(가스공사)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대형 선박이 입출항하는 국내 주요 항만에 LNG벙커링 전용터미널을 구축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유럽과 중국을 중심으로 LNG연료추진선 산업이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를 감안해 LNG추진선과 벙커링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면서 "세계적인 조선산업 1위국가의 위상을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