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5/20150715170645765895.jpg)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제공=안철수 의원실]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당내 '유일한 컴퓨터 보안 전문가'로 꼽히는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정원 불법카톡사찰의혹 진상 조사위원회'(가칭) 위원장을 맡아 국정원 민간인 도·감청 의혹과 관련해 진상규명에 나선다. 안 의원은 위원장직 수락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당에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진상 조사에 함께 나서자고 제안했다. 필요하다면 국정조사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위원장은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내 컴퓨터가, 내 스마트폰이 정보기관으로부터 감시당하는 게 아닌가 하는 국민 불안을 한시라도 빨리 해소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진상조사위 활동 방향으로 △철저한 진상규명 △제도 개선을 통한 재발방지책 마련 △도·감청 관련 국민 불안 해소 등을 제시했다.
그는 이어 "우리 당 차원에만 그칠 게 아니라 국민 인권과 관련된 문제인만큼 여당도 함께하는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이 필요하다"며 "국회 차원 특위 구성 노력과 함께 (이것으로) 부족하다면 국정조사 실시 여부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은 또 "국민 인권, 국민 사생활 보호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국정원 민간인 도·감청 의혹은) 개인 정보 보호 범위를 훨씬 넘어 사생활까지도 침해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여야 모두 (진상조사에) 참여하는 게 옳다. 궁극적으로 여야가 함께 특위를 만들거나 국정조사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 자리에서 '디지털 증거 확보'를 서둘러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알려졌기로는 (이탈리아 소프트웨어 업체인) '해킹팀'에서 만든 프로그램이 원격으로 삭제가 가능해 만약 설치됐더라도 원격으로 이미 삭제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그렇다면 증거를 찾기가 어려울 것이고, 처음 삭제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할 수록 증거 찾기는 더 어려워진다"고 우려했다.
이어 "지금은 증거 없이 (국정원 민간인 사찰 여부를) 속단하거나 반박하는 건 이르다고 본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빨리 디지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증거 찾는 일이 점점 더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마 지금은 (증거를) 찾기 힘든 상황이지 않을까 싶은데 최대한 찾아보고자 노력할 것"이라며 "우선 당내에서라도 위원회 차원서 활동 개시해야겠다고 생각이 든 것도 그런 문제(증거 확보의 시급성)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안 위원장은 인선은 외부 해킹 관련 전문가를 포함해 10명 정도로 구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진상규명 소위원회와 제도 개선을 담당하는 소위 등으로 분리돼 운영된다. 소위 위원으로는 국회 정보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참여하고, 교수 등 외부전문가도 두루 참여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