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총 818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추경예산에 대한 자금 신청을 받는다고 5일 밝혔다.
자금별 추경예산 규모는 △창업기업지원자금 2000억원 △개발기술사업화자금 500억원 △신성장기반자금 1000억원 △긴급경영안정자금 4550억원 △재도약지원자금 130억원 등이다. 이는 올해 중진공 정책자금 예산 3조710억원 대비 26.6% 규모다.
특히 중진공은 일반경영안정자금을 긴급경영안정자금 내 2800억원 규모로 신설해 기업당 최대 5억원까지 운전자금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지난 6월부터 지원 중인 ‘메르스 피해 기업 및 병·의원 지원자금’(450억원)을 1000억원 추가 증액하고, 지원대상을 지역에 상관없이 매출액 10%이상 감소한 피해 중소기업 및 병·의원으로 확대한다.
이외에도, 창업기업지원자금, 신성장기반자금 등도 이번 추경 예산 확보를 통해 8월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지원은 중진공 홈페이지에서 융자 신청 기본 요건 등을 스스로 점검하는 자가진단 후, 중진공 내·외부 전문가와의 사전상담을 진행한다.
이어 신청기업에 적합한 자금의 종류, 지원가능 규모, 실제 자금소요 시기 등을 검토해 융자신청을 진행하고, 중진공 기업전문가의 기업평가를 통해 융자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중진공 관계자는 “중진공은 하반기 경제회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의 취지를 살려 추경 증액된 정책자금이 유동성 부족으로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에게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이번 달부터 신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금별 추경예산 규모는 △창업기업지원자금 2000억원 △개발기술사업화자금 500억원 △신성장기반자금 1000억원 △긴급경영안정자금 4550억원 △재도약지원자금 130억원 등이다. 이는 올해 중진공 정책자금 예산 3조710억원 대비 26.6% 규모다.
특히 중진공은 일반경영안정자금을 긴급경영안정자금 내 2800억원 규모로 신설해 기업당 최대 5억원까지 운전자금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지난 6월부터 지원 중인 ‘메르스 피해 기업 및 병·의원 지원자금’(450억원)을 1000억원 추가 증액하고, 지원대상을 지역에 상관없이 매출액 10%이상 감소한 피해 중소기업 및 병·의원으로 확대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지원은 중진공 홈페이지에서 융자 신청 기본 요건 등을 스스로 점검하는 자가진단 후, 중진공 내·외부 전문가와의 사전상담을 진행한다.
이어 신청기업에 적합한 자금의 종류, 지원가능 규모, 실제 자금소요 시기 등을 검토해 융자신청을 진행하고, 중진공 기업전문가의 기업평가를 통해 융자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중진공 관계자는 “중진공은 하반기 경제회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의 취지를 살려 추경 증액된 정책자금이 유동성 부족으로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에게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이번 달부터 신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