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5단체 “파견근로 규제 완화 등 고용 유연성 확대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31 13: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노동개혁’ 관련 긴급 기자회견

[사진 왼쪽부터 송재희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김정관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무역협회 등 경제 5단체는 3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파견근로 관련 규제의 대폭 완화 등 고용 유연성을 확대하고 연공급제를 직무·성과 중심으로 바꾸는 등 노동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현재와 같은 경직된 노동시장에서는 투자를 늘리고 채용을 확대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면서 “노동시장의 공정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노동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 5단체는 먼저 “기업이 지속적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불공정하고 경직된 노동 관계법과 제도들이 개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엄격한 해고규제로 인해 능력이나 성과와는 무관하게 고용이 보장되고 해마다 호봉이 올라가는 현재의 제도로 인해 기득권 근로자를 과도하게 보호해 줘야 하는 부담 때문에 기업은 정규직 채용을 꺼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미취업 청년들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더 나은 일자리로 진입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단체들은 이어 “노동개혁의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면서 “제도개혁은 정부 지침 형태가 아니라 법률 개정을 통해 확실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요건 완화, 저성과자에 대한 근로계약 해지를 정부지침 형태로 추진하려고 하는 움직임에 대해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0년대 이후 하르츠 개혁을 통해 근로자 파견과 기간제 사용을 탄력적으로 가능하게 한 독일의 예로 들었다. 독일은 해고 규제를 대폭 완화해 2008년 고용률 70%를 조기달성한 바 있다.

아울러 “연공급제를 타파하고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혁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영배 경총 부회장은 “신입직원과 퇴직근로자간 임금 격차가 다른 나라보다 큰 3.1배에 이를 정도로 우리 임금체계의 연공성은 과도하다”고 설명했다.

경제단체들은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불하는 임금의 총액을 줄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금체계를 개편하거나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것은 근로조건의 합리적 개선이라고 봐야 한다”면서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경제계는 노조가 앞장서서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해 달라면서 경제계도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개편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청년고용절벽 완화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 부회장은 “노동시장의 제도 개선은 심각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이지 기업이 금전적으로 이익을 보기 위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오로지 국가의 미래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의만을 보고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협상에 임할 것”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동계도 10.3%에 지나지 않는 노조원의 조직적인 이익만 챙기지 말고 대다수의 미조직 근로자와 미래의 근로자인 미취업 청년들의 간절한 바람에도 귀를 기울여 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 부회장외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김정관 무협 상근부회장, 송재희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