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이날 통일교육연구원 주최로 열린 포럼에서 "북한의 연착륙을 목표로 점진적 평화통일을 추진하되 어느 시점에서 붕괴에 의한 흡수통일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현실에 접근하는 경로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화해협력에 의한 평화 공존을 토대로 남북이 점진적인 평화통일에 합의한다 하더라도 실제에서는 합의 직후 통일과정의 역동성이 급속도로 진행될 것"이라며 "남북의 힘의 역관계가 철저히 반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다만 "한반도 통일 과정이 실제로 역동성과 '더 나은 삶의 질로서의 통일'이라는 진보성을 견지하려면 오랜 기간 화해협력과 평화공존의 기간이 필요하고 남북의 상호 민주화가 진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