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2/20160112073216687418.jpg)
[사진=이수연 아나운서]
아주경제 워싱턴특파원 박요셉 기자 =미국 워싱턴D.C.에서 11일(현지시간) 한국, 미국, 일본 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열려 학계와 언론의 관심이 모아졌다.
미국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는 이날 오전 한·일 관계 전문가인 한·미·일 3국의 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일 관계와 동아시아의 역사적 화해를 위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특히 세미나에는 '제국의 위안부'라는 저서로 위안부 논란의 중심에 선 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자신의 기존 주장을 계속하자 다른 교수들이 이에 반박하며 논쟁이 이어졌다.
당초 이번 세미나는 지난 12월 한·일 양국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위안부 문제를 바라보는 학계의 상반된 시각이 공개로 표출된 자리였다.
박 교수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동안 배제됐거나 들리지 않았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다"며 "예를 들어 한국 내에서 위안부는 강제로 끌려간 소녀 성노예로 인식되고 있지만, 내가 직접 만난 한 위안부 할머니는 '강제연행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고 '위안부는 군인들을 돌보는 존재'라는 얘기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특히 "군인과 위안부 사이에는 업자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일본 정부의 협력자였다"고 주장했다. 일제 시대 당시 일부 조선인이 일본의 협력자로서 위안부 동원과정에 관여한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는 취지다.
또한 박 교수는 "국가가 나쁜 정책을 만들 수 있지만 협력자가 없으면 실행될 수 없다"며 "이들 업자의 역할을 논의하는 것은 같은 일이 재발되는 것을 막고 국가의 책임문제를 근본적으로 고찰하는데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를 후원한 아사노 도요미 일본 와세다대 정치학과 교수는 "위안부 문제는 일본 제국주의에서 빚어진 사건으로 다시 되풀이되어서는 안 된다"면서도 "제국주의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지만 이는 일본 만 아니라 한국도 지원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박 교수의 저서인 '제국의 위안부'에 대해 "양국 내부에 존재하는 단순한 민족주의적 논리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지난해 일본의 과거사 왜곡을 규탄하는 세계 역사학자들의 집단성명을 주도해온 더든 교수는 "위안부 문제는 일본 정부의 정책적 조율을 거쳐 정부 관리 또는 사실상 관리의 권한을 갖춘 자들에 의해 자행된 국가후원 시스템"이라고 반박했다.
더든 교수는 "한·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조치는 역사적 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윤 터프츠대 플레처스쿨 교수는 "이번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국가가 후원한 군대 성노예 제도, 즉 인권 범죄"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일본의 식민지 체제는 여러 방면에서 독특하게 탄압적이었고 독특하게 잔인했으며 지금 북한의 김씨 일가가 독재체제를 유지하는 방식이 바로 일제에서 배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