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지난 29일 경북 상주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연구수장동에서 한불화장품(주)와 ‘갈대뿌리 발효물 특허기술이전 및 공동연구업무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담수생물자원을 활용한 유용성 연구에서 갈대뿌리와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물이 피부주름개선 효과(특허번호 제10-2016-0064275호, 2016.5.25)와 미백효과(특허번호 제10-2016-0064272호, 2016.5.25)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을 이용해 대표적인 수변식물인 갈대뿌리에서 발효물을 만들었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을 이용해 갈대뿌리를 발효할 경우 피부주름의 원인인 엘라스타아제 효소와 피부를 검게 만드는 멜라닌 색소에 관여하는 타이로신아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담수생물자원에 발효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며, 이는 담수생물자원산업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통식품 유산균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담수미생물을 찾아 발효 연구에 계속 접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담수생물을 발효기술에 접목해 항염, 면역증강, 항암, 항비만 등 유용성 검증을 통해 식품, 의약품 소재 등으로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