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올들어 서울에서 열대야가 29일이나 발생하면서 최악의 폭염을 기록했던 1994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22일 열대야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이후 이날까지 무려 29일 발생했다.
열대야가 없던 날은 7월 29일(아침 최저기온 23.4도)과 8월 3일(24.0도) 등 단 이틀 뿐이었다. 이는 1973년이후 두번째로 많은 수치다.
서울에서 열대야가 가장 많이 발생한 해는 1994년(36일)이었다.
열대야는 전날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도이상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한마디로 일 최저기온이 2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무덥고 짜증나는 밤을 말한다.
특히 이달들어서는 열대야가 4일이후 18일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서울의 열대야 발생일수는 5일에 머문 점을 고려하면 기록적인 폭염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작년의 경우에는 열대야가 8월 5일(25.9도)을 끝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올해 서울의 열대야는 25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침 최저기온이 22일 26도, 23일 25도, 24일 25도, 25일 25도로 예보돼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올들어 서울의 열대야 발생일수는 무려 33일에 이르게 된다.
일요일인 2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3도로 치솟으면서 전국적으로 폭염이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따라 강원 영동과 영남 동해안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특보가 발효중이다.
폭염경보는 낮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날이, 폭염주의보는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 이틀 이상 각각 이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내려진다.
이처럼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것은 일본 동쪽 해상에 있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남북으로 강하게 발달하면서 한반도 주변 기압계의 흐름이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으로부터 평년보다 3∼5도 높은 뜨거운 공기가 한반도 상공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고 있는 데다, 강한 일사가 기온을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정체된 기압계 흐름 속에 가열된 지상부근의 공기가 동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장기간 머물고 있으며, 상층의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남하하지 못하고 북편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무더운 날씨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다음 주 후반 목요일인 25일 32도로 떨어지는 등 폭염이 다소 누그러지겠지만 기온이 평년보다 1∼3도 높은 여름 더위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