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0/06/20161006141813327032.jpg)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대우조선해양의 자본 확충이 산 넘어 산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감자 및 출자전환 등을 통해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더라도 내년부터 도래하는 만기 회사채를 차환할 수 있을지 미지수기 때문이다. 당장 사업성 개선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강등된 신용등급으로 인해 조달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게 금융업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의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와 대주주인 KDB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감자와 출자전환 등을 통해 자본을 확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주총회 의결, 차등 감자 여부 등이 변수로 꼽히지만 대우조선의 상장폐지를 막기 위해선 불가피한 과정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연내 대우조선에 대한 자본 확충 조치가 이뤄져야 주식 거래정지가 풀리고,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려면 연내 감자 등을 실시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대우조선은 결손금 누적으로 인해 올해 반기 말 기준 총자본이 마이너스 1조2284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그러나 채권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내년부터 2019년까지 회사채 만기가 잇따를 예정인 가운데 높은 금리를 감당하면서 차환 비용을 조달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이유에서다.
장내 거래되는 대우조선 회사채는 5종목, 1조3500억원(발행잔액 기준) 규모다. 모두 만기에 원금을 지급하고, 전환권리 등이 없는 스트레이트 본드다.
이 가운데 대우조선해양6-1(4000억원), 대우조선해양4-2(3000억원) 등이 각각 내년 4월 21일과 7월 23일 만기를 앞두고 있다. 대우조선해양5-2(2000억원)도 내년 11월 중 만기가 도래한다. 나머지 2종목은 2018년 3월(3500억원), 2019년 4월(600억원)에 각각 만기될 예정이다.
한 채권운용 관계자는 "최근 30% 안팎의 수익률로 대우조선 회사채가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디폴트 리스크를 반영, 상환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반증하는 것"이라며 "여기에 신용등급까지 하락해 추후 차환용 채권을 발행하는 시점에 대우조선은 더 큰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5년새 신용등급(한국신용평가 기준)이 AA-에서 B+까지 떨어지면서 스프레드가 커진 탓이다. 다만 투기적 등급에 가까운 신용등급에도 장내 거래가 이뤄지는 것은 대우조선 회생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높은 조달·이자 비용으로 인해 수익성 악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유동성 확보는 어렵다는 데 있다.
대우조선은 1조원 규모의 소난골 드릴십 인도가 지연되는 것은 물론 한때 정상화 방안으로 논의됐던 사업부 분리매각도 흐지부지되고 있다. 설령 분리매각을 추진하더라도 '백기사'로 나설 곳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한 IB업계 관계자는 "감자든 출자전환이든 추가 공적자금 투입은 판단의 문제가 아닌 시기의 문제"라며 "또 자본잠식을 피한다고 사업성이 곧바로 개선되는 것은 아니어서 정부와 채권단은 보다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