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기준 실업자는 모두 98만5000명으로 이 중 32%인 31만5000명이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집계됐다.
대졸 실업자 규모는 3분기 기준으로는 1999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30만명을 돌파했다. 전체 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사상 최대였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사태 직후인 1999년 3분기 전체 실업자는 133만2000명에 달했지만 4년제 대학 졸업자는 12.1%인 16만1000명에 불과했다.
2005년 15.3%였던 실업자 중 대졸자의 비중은 2006년 19.9%로 급상승한 뒤 2008년 20.5%로 20%대에 올라섰다.
이후 2010년 23.3%, 2012년 26.8%, 2013년 28.6%, 2015년 28.8%에 이어 올해는 30%를 훌쩍 넘었다.
전문대 졸업자를 포함할 경우 3분기 전체 실업자(98만5000명) 중 대졸자(43만8000명)의 비중은 무려 44.5%에 달했다.
실업자 2명 중 1명가량은 최소한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고학력 실업자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학력 인플레이션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대학진학률은 2014년 기준 70.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졸자는 계속 배출되지만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괜찮은 일자리'는 그만큼 늘지 않아 이른바 일자리 '미스매치'가 발생하면서 대졸 실업자 수는 물론 전체 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반의 학력 수준이 높아지면서 실업자와 취업자에서 대졸자가 차지하는 비중 모두 추세적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인 일자리 사정이 악화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9월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상승한 3.6%로 9월 기준으로는 2005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청년실업률 역시 1.5%포인트 오른 9.4%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실업률이 최근 상승했고 청년층 실업률이 높아진 점도 대졸 실업자 수나 비중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