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부터 5월까지 봄철에는 황사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황사로 인한 직·간접 피해가 우려되는 사항으로 직접적 영향으로는 기공폐쇄에 의한 물질 대사이상이 발생한다.
간접적으로는 시설하우스 투광량 감소에 따른 광합성 저하로 작물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최근 안개 발생이 많아 더욱더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농촌진흥청 ‘황사대비 시설원예 관리기술’ 자료에 따르면 황사와 수분이 결합해 비닐 등 표면에 침착하면 20~30% 수준까지 투광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져 관리요령을 숙지해 재배관리에 더욱더 신경을 써야한다.
황사 발생기간 중에는 비닐하우스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황사로 인해 일조가 부족한 경우 LED나 백열전구 등을 이용해 인공 광을 보충해야 한다.
황사 종료 후 조치사항은 황사로 인해 햇빛가림이 심한 경우 시설하우스(비닐, 유리)를 분무호스나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해 황사를 씻어 내야 시설재배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