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놀 제거 미생물 13종은 김천 일반산업단지, 구미 국가산업단지 등 주요 산업단지 인근 낙동강 지류하천 9곳에서 지난해 3월부터 9개월에 걸쳐 발견했다.
발견된 미생물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4종, 로도코커스(Rhodococcus) 속 4종, 브레비바실러스(Brevibacillus) 속 1종, 싸이크로바실러스(Psychrobacillus) 속 1종, 마이크로박테리움 (Microbacterium) 속 1종, 노카디아(Nocaedia) 속 1종, 조르지나(Georgenia) 속 1종이다.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한 미생물 13종의 페놀 제거 원리를 비롯해 유용효소 및 대사체 생산 등의 심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13종의 미생물 중 대표 균주인 로도코커스 에쓰리보란스 B23균주는 페놀 등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균주는 페놀 이외 벤젠, 톨루엔 등 유해화학물질 6종을 총칭하는 ‘비티이엑스(BTEX)’까지도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에 발견된 미생물들은 향후 환경오염물질 저감 미생물제제 개발 등 생물자원의 실증화를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국내 담수미생물자원을 활용한 미생물제제 개발 등 환경산업관련 원천기술을 개발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생물 13종은 환경정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미생물 효소의 페놀 제거효능, 유용미생물 혼합배양 등 유해물질 분해 최적화 연구 과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