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의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이 속속 승인을 받으며 본격화하는 가운데 곳곳에서 주민들의 반대라는 암초를 만나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지난 15일 성동구 장한평역 인근에 들어서는 청년주택(170가구)사업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을 변경 결정고시했다. 관악구 신림동(212가구)과 도봉구 쌍문동(299가구)에 들어서는 청년주택의 용도지역을 변경하는 안도 이날 통과됐다. 이어 22일에는 강서구 우장산역에 들어서는 청년주택(429가구)이 사업승인을 받았다.
지난해 3월 박원순 서울시장은 역세권 부지 45곳을 선정해 청년들을 위한 임대주택을 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박 시장이 발표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시가 용도지역 상향과 절차 간소화 등을 지원하는 대신 민간 사업자가 임대주택을 지어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의 임대료로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모든 청년주택이 순항하는 것은 아니다. 지난 21일 주민 50여명은 마포구 광흥창역 인근에 들어서는 청년주택에 반대하며 서울시청 앞에 모여 집회를 열었다. 마포구 창전1구역에 들어서는 청년주택에 반대하는 이들은 대부분 2019년 입주를 앞둔 태영 데시앙 아파트 입주민들이다.
최고 높이 21층으로 지어지는 이 아파트 일부 가구가 청년주택에 의해 햇빛이 가려진다는 것이 마포1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측의 설명이다. 이들은 “시가 주민들의 의견을 묵살한 채 사업자인 이랜드의 편의만 봐주고 있다”며 “용적률 250%를 486%로 종상향시킨 것은 엄청난 특혜”라고 주장했다.
이 곳에 들어서는 청년주택은 이랜드건설이 시공하는 건물로 이랜드는 지난 5월 시에 구 이랜드 신촌사옥부지에 청년주택을 짓겠다는 내용의 계획안을 제출했다. 최고 높이 17층, 총 702가구로 들어설 예정이다.
이 지역 외에도 신림역과 삼각지역, 충정로역에서도 일부 주민들이 차량 증가와 소음 등을 이유로 청년주택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한편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광흥창역 인근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데시앙 아파트는 워낙 입지가 좋아 엄청난 경쟁률로 마감됐던 곳”이라며 “일조권이 침해되는데 입주민들 입장에선 억울한 면도 있지 않겠냐”고 되물었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말 분양 당시 최고 청약경쟁률인 38대 1을 기록했다.
반면 삼각지역 인근의 또 다른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주민들이 모두 반대를 하는 건 아니다”라며 “오히려 젊은 사람들이 들어오면 상권도 살아나고 동네에 활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는 주민들도 있다”고 말했다.
이미 시는 용산구 한강로2가와 서대문구 충정로3가, 마포구 서교동에 들어서는 청년주택 공사에 착수했다. 이 밖에도 △강남구 논현동 △송파구 잠실동 △성동구 용답동 등 14곳에선 사업시행인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나머지 28곳에선 사업시행인가를 준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