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자산업을 이끌어온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이 11일 별세했다. 향년 90세.
김 회장은 과학기술 지원과 장학사업 등을 활발하게 펼쳐왔다. 지난 2월에는 모교인 서울대학교 인공지능(AI) 센터 설립에 써달라고 500억원을 쾌척하기도 했다.
그는 1929년생으로 함남 조선전기공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전자통신학과로 진학했다. 대학을 다니던 중 6·25전쟁이 터져 공군에서 복무하다가 전역 후 본격적으로 전자 제조업으로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이 1965년 설립한 회사 대덕은 국내 전자산업의 발전 역사 그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업 궤적을 남겨왔다. 처음에는 흑백 TV 인쇄회로기판(PCB) 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해 TV를 넘어 PC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까지 생산영역을 확대했다. 특히 현재는 스마트폰과 5세대 이동통신(5G) 등에 필요한 PCB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현재 대덕전자의 규모는 지난해 기준 매출 9600억원에 직원 2000여명을 거느리는 기업으로 성장한 상태다.
김 회장은 지난 1991년에는 사재를 들여 해동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해 이공계 연구자에게 연구비를 지원하고, 2002년에는 대덕복지재단을 세워 사회공헌 사업도 활발히 해왔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됐고, 발인은 오는 15일이다.
김 회장은 과학기술 지원과 장학사업 등을 활발하게 펼쳐왔다. 지난 2월에는 모교인 서울대학교 인공지능(AI) 센터 설립에 써달라고 500억원을 쾌척하기도 했다.
그는 1929년생으로 함남 조선전기공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전자통신학과로 진학했다. 대학을 다니던 중 6·25전쟁이 터져 공군에서 복무하다가 전역 후 본격적으로 전자 제조업으로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이 1965년 설립한 회사 대덕은 국내 전자산업의 발전 역사 그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사업 궤적을 남겨왔다. 처음에는 흑백 TV 인쇄회로기판(PCB) 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사업을 시작해 TV를 넘어 PC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까지 생산영역을 확대했다. 특히 현재는 스마트폰과 5세대 이동통신(5G) 등에 필요한 PCB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김 회장은 지난 1991년에는 사재를 들여 해동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해 이공계 연구자에게 연구비를 지원하고, 2002년에는 대덕복지재단을 세워 사회공헌 사업도 활발히 해왔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됐고, 발인은 오는 15일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11/20190411185712498903.jpg)
2009년 3월 20일 서울대 총동창회에 참석한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