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몰 ‘임블리’의 임지현 상무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다시 한 번 사과문을 올렸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분노는 여전한 상태다. 일부는 사과만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임지현 상무는 지난 29일 사과를 한 것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과문을 다시 올렸다. 임 상무는 이날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죄송합니다. CS 응대가 늦어지고 있습니다”라고 적힌 이미지와 함께 “많은 분들께서 오늘(29일) 저의 사과가 이미 늦었다고 말씀하시는 점에 대해 가슴이 아프고 또 한 번 후회스러웠습니다”라고 사과문을 시작했다.
그는 “틀린 말씀이 아니기에 죄송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며 “모든 것이 늦었지만 그래도 저희가 반드시 신속히 해야 할 일은 고객 불만 접수와 응대, 제품 교환, 환불 등의 CS 업무진행이라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이어 “하지만 너무 죄송스럽게도 CS 문의가 평상시의 10배 가까이 늘고 다양한 문의사항으로 한 분 한 분 응대에 필요한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고 현실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임 상무는 현재 CS 응대 직원을 추가해 응대하고 있다며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양해를 당부했다.
임 상무의 거듭된 사과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한 소비자는 임 상무 인스타그램 댓글을 통해 “(임블리) 화장품 쓰고 다 뒤집혀서, 피부과 아직 다니고 있다. 이건 사과로 될 일이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소비자는 “1700억원 매출에 합당한 고객응대를 하세요. 제발”이라며 억대 매출에 비해 낮은 수준의 CS 응대에 불만을 토해냈다.
한편 임블리 측은 ‘호박즙 곰팡이 사건’ 이후 안일한 대처로 소비자들의 등을 돌리게 했다. 이후 동대문 시장 상인 갑질, 디자인 카피 의혹 등 의혹이 쏟아졌다. 또 논란이 수습되기도 전에 신상 품절을 알리는 등 이해 못 할 행동을 보여 불매 운동이 퍼졌고, 이는 매출 타격으로 이어졌다.
다음은 임블리 임지현 상무가 인스타그램에 다시 올린 사과문 전문이다.
많은 분들께서 오늘 저의 사과가 이미 늦었다고 말씀하신 점에 대해 가슴이 아프고 또 한 번 후회스러웠습니다. 틀린 말씀이 아니기에 죄송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모든 게 늦었지만 그래도 저희가 반드시 신속히 해야 할 일은 고객 불만 접수와 응대, 제품 교환, 환불 등의 CS 업무 진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너무 죄송스럽게도 CS 문의가 평상시의 10배 가까이 늘고, 다양한 문의사항으로 한분 한분 응대에 필요한 시간이 더 걸리고 있습니다.
현재 CS 직원을 추가 증원해 고객님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인원확충을 하고 교육을 거쳐 CS 응대에 나설 것입니다. 저희의 잘못과 부족함으로 CS 인력을 최대로 운용해도 응대가 지체되는 점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이런 대비들까지 철저하게 진행하지 못한 점도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한 건이라도 더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을 더 하고, 끝까지 빠짐없이 응대 도와드리겠습니다.
다시 한 번 불편하게 해 머리 숙여 사죄드립니다.
임지현 상무는 지난 29일 사과를 한 것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과문을 다시 올렸다. 임 상무는 이날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죄송합니다. CS 응대가 늦어지고 있습니다”라고 적힌 이미지와 함께 “많은 분들께서 오늘(29일) 저의 사과가 이미 늦었다고 말씀하시는 점에 대해 가슴이 아프고 또 한 번 후회스러웠습니다”라고 사과문을 시작했다.
그는 “틀린 말씀이 아니기에 죄송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며 “모든 것이 늦었지만 그래도 저희가 반드시 신속히 해야 할 일은 고객 불만 접수와 응대, 제품 교환, 환불 등의 CS 업무진행이라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이어 “하지만 너무 죄송스럽게도 CS 문의가 평상시의 10배 가까이 늘고 다양한 문의사항으로 한 분 한 분 응대에 필요한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고 현실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임 상무의 거듭된 사과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한 소비자는 임 상무 인스타그램 댓글을 통해 “(임블리) 화장품 쓰고 다 뒤집혀서, 피부과 아직 다니고 있다. 이건 사과로 될 일이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다른 소비자는 “1700억원 매출에 합당한 고객응대를 하세요. 제발”이라며 억대 매출에 비해 낮은 수준의 CS 응대에 불만을 토해냈다.
한편 임블리 측은 ‘호박즙 곰팡이 사건’ 이후 안일한 대처로 소비자들의 등을 돌리게 했다. 이후 동대문 시장 상인 갑질, 디자인 카피 의혹 등 의혹이 쏟아졌다. 또 논란이 수습되기도 전에 신상 품절을 알리는 등 이해 못 할 행동을 보여 불매 운동이 퍼졌고, 이는 매출 타격으로 이어졌다.
다음은 임블리 임지현 상무가 인스타그램에 다시 올린 사과문 전문이다.
많은 분들께서 오늘 저의 사과가 이미 늦었다고 말씀하신 점에 대해 가슴이 아프고 또 한 번 후회스러웠습니다. 틀린 말씀이 아니기에 죄송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습니다.
모든 게 늦었지만 그래도 저희가 반드시 신속히 해야 할 일은 고객 불만 접수와 응대, 제품 교환, 환불 등의 CS 업무 진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너무 죄송스럽게도 CS 문의가 평상시의 10배 가까이 늘고, 다양한 문의사항으로 한분 한분 응대에 필요한 시간이 더 걸리고 있습니다.
현재 CS 직원을 추가 증원해 고객님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인원확충을 하고 교육을 거쳐 CS 응대에 나설 것입니다. 저희의 잘못과 부족함으로 CS 인력을 최대로 운용해도 응대가 지체되는 점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이런 대비들까지 철저하게 진행하지 못한 점도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한 건이라도 더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을 더 하고, 끝까지 빠짐없이 응대 도와드리겠습니다.
다시 한 번 불편하게 해 머리 숙여 사죄드립니다.

[사진=임지현 인스타그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