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웨이가 발표한 전 세계 주요 거래처는 92개로, 3곳 중 1곳(30여개)은 미국 기업이다. 퀄컴과 인텔, 브로드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유명 기업이 포함돼 있다.
수출제한 리스트에 오르면 별도의 승인 없이는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6일 보도를 통해 미국 상무부의 제한 조치로 화웨이는 미국 기업과의 거래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고 가로막혔다고 전했다.
부품 조달도 문제다. 화웨이는 지난 2004년 반도체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을 설립했다. 부품 관련 타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다. 지난 몇 년간 5세대 이동통신(5G) 칩을 자체 개발하면서 자급률도 높였다. IDC 데이터의 조사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자사 스마트폰 73%에 자체 칩을 탑재했다. 나머지 10%는 대만 미디어텍에서, 나머지 17%는 퀄컴에서 조달했다.
5G 판매망도 걱정거리다. 화웨이는 유럽과 아시아, 중동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지국 등 5G 상용화를 위한 통신 장비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산 제품을 조달하지 못해 통신장비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각국 5G 서비스 개시가 지연될 수 있다. 투자금 회수도 어려워진다. 작년에만 160억 달러를 투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위협을 해소하기 위해 안보 위험이있는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이번 행정명령에서 특정 국가나 기업 이름이 명시된 것은 아니다. 다만 미국 상무부의 수출제한 리스트를 근거로 화웨이와 ZTE를 겨냥한 게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16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다른 나라가 중국 회사에 일방적인 제재를 가하는 데 대해 강력하게 반대한다"며 "모든 필요한 수단을 동원해 중국 회사들의 합법적인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화웨이도 입장문을 통해 "미국이 화웨이의 거래를 제한한다고 해서 미국의 안전이 보장되는 것도, 더욱 강력해지는 것도 아니다"라며 반발했다. 향후 미국 정부의 제재가 최종 시행되면 법적 다툼에 나설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겼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미국의 이번 조치가 미·중 무역협상에서의 테크 분야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미·중 무역협상이 조만간 재개된다고 해도 정보통신 부분에서 간극을 좁히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