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특수2부(고형곤 부장검사)는 4일 오전 10시 가로등 점멸기 생산업체 웰스씨앤티 최모 대표를 불러 사실관계 등을 추궁 중이다. 이 업체는 조 후보자가 10억여원을 투자한 사모펀드 ‘코링크PE’로부터 투자를 받은 업체다.
최 대표는 검찰청 앞에서 기자들과 마주지차 “"힘들고 억울하다”면서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고 말하고 검찰청사로 들어갔다. 전날에는 이 회사의 상무인 이모씨도 검찰 소환조사를 받았다.
지금까지 야권과 언론에서는 해당업체가 관급공사를 낙찰받는 과정에서 사모펀드 측이 사전에 정보를 빼내거나 낙찰받을 수 있도록 조작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다. 자유한국당은 “조 후보자 가족 출자 전후로 이 회사의 실적이 급증했다”며 “공직자 신분이던 조 후보자의 역할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관련기사
일부 언론에서 ‘검찰이 웰스씨앤티의 회계장부를 확보했다’며 ‘스모킹 건이 나왔다’고 흥분한 기사가 나왔지만, 회계장부에서 어떤 불법정황이나 사실관계를 포착했는지에 대해서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야권과 일부 언론의 요란한 대응과 달리 검찰은 우선 사모펀드의 투자과정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기초적인 사실관계가 나와야 불법성 여부를 수사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낙찰관련 정보 등 내부정보를 빼낸 뒤에 투자했다면 불법이지만 그 과정에 조 후보자가 개입하지 않았다면 조 후보자에 법적 책임은 물론 도의적 책임도 묻기 어렵다는 것이다.
검찰은 수사와 관련해서도 일체의 발언을 삼가면서 어떤 보도와 관련해서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대응을 고수하고 있다.
복수의 검찰 관계자는 “언론이 부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경쟁을 하듯 보도를 하고 있다”면서 “검찰은 지금까지 어떤 수사관련 정보도 확인해 준 적 없다”고 밝혔다. “(수사 내용과 관련해서) 검찰 관계자를 거론한 어떤 보도도 사실이 아니다”는 게 검찰의 입장이다.
검찰 일각에서는 “지금까지 보도된 정보가 사실이라고 해도 조 후보자가 개입했다는 증거나 정황이 될 만한 것은 하나도 없고 전부 주변 인물에 대한 것”이라면서 “검찰을 정쟁의 앞에 세우려는 것처럼 보인다”며 불편한 심기가 표출되고 있다.
지금까지 일부 언론에서는 익명의 검찰 관계자를 인용해 ‘조 후보자 측이 증거를 없앴다’ 거나 ‘조 후보자의 부인이 딸의 인턴경력 혹은 표창장 수여 실적을 조작했다’는 식의 기사들을 내보냈다.
조 후보자의 5촌 조카와 사모펀드 관계자들이 필리핀에 함께 체류 중이라는 일부의 보도 역시 확인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04/20190904143444150033.jpg)
윤석열 검찰총장이 4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점심을 먹으러 구내식당으로 가고 있다.[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