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없고, 주변 상권과 함께하는 상생축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대전)김환일 기자
입력 2019-09-04 22: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19 사회혁신 한마당 IN-Daejeon, 9월 5일부터 3일간 옛 충남도청 일원

2019 사회혁신 한마당 포스터[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플라스틱이 없는 이색적인 행사를 마련했다.

대전시는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옛 충남도청 일원에서 행사 기간 중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2019 사회혁신 한마당 IN-Daejeon’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행사장 내에서 일회용품을 자제하는 기존 생각을 넘어 선택권 없이 소비하는 이시대의 시민이 직접 환경보호 실천에 대한 일상의 변화를 경험하고 실험하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시는 지난달 한 달간 이벤트를 통해 에코백과 텀블러 등 500여개를 기부 받았고, 행사당일에 깨끗하게 세척 후 일회용 비닐봉지와 종이컵을 대신해 참여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이번행사는 5일 개막식과 대전사회혁신플랫폼 출범식을 시작으로 6일에는 주제컨퍼런스, 돗자리 수다 등이 펼쳐지며, 7일에는 놀이터 드로잉, 토크콘서트 등이 진행된다.

또 눈길을 끄는 것은 원도심 지역 상권과 함께하는 행사도 마련됐다.

작은 컨퍼런스는 활동가, 일반시민 등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는 소규모의 컨퍼런스로 ‘예술가들은 어디 숨어 있을까요?’ 등 모두 20개의 주제로 구성했다.

이번 행사는 일반적인 행사와 달리 주변 카페를 대여해 진행하는 데 주변 상권과 상생하는 좋은 사례가 될 전망이다.

시는 원도심 내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행사장 내에 푸드트럭이나 먹거리 코너를 대신해 인근 상권을 이용하도록 했고, 행사 리플릿에 주변 식당과 카페를 소개해 타 지역에서 온 참가자들이 대전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했다.

행사 장소인 옛 충남도청이 대전 소통협력공간 조성 장소라는데 의미를 두고 콜라보로 진행되는 행사도 기대를 모은다.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방법을 궁리하고, 지역의 미래를 품은 ‘로컬’을 이야기하는 주제컨퍼런스는 유명 혁신전문가와 시민 200여 명이 심도 있고 풍성한 토론을 펼쳐진다.

또, 시 소통협력공간인 커먼지 필드(COMMONZ FIELD) 대전에서 1949 대전을 그리다. 고수들의 대화, 버스킹 등 풍성한 행사가 마련되며, 마을여행, 프리마켓이 상설로 운영된다.

시 관계자는“이번 행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행사장 주변지역과 상생하며 사회혁신을 체험하는 특색이 있다”며 “특히 행사를 통해 직접 경험한 텀블러 사용하기가 일상생활에서의 큰 변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