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 64% “4차 산업혁명 잘 몰라”…40%는 “영향 없다”

중소제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제조업 30% 가량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보다 많은 40%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2년 전 중기중앙회가 실시한 조사결과와 비교해 개선되지 않았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편’이라고 응답한 중소제조업은 36.3%로 2년 전(39.5%)보다 3.2%포인트 낮아졌다.

이번 조사에서 ‘모르는 편’(대체로 모른다+전혀 모른다)이라고 응답한 중소제조업은 63.7%를 차지했다.

4차 산업혁명 인지 여부.[그래프 = 중기중앙회]


단, 디지털전환의 체감은 35.5%에서 43%로 2년 전보다 늘었다.

응답 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영향이 없다’라고 본 중소제조업도 40.7%나 됐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해 ‘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도 10%에 머물렀다.

4차 산업혁명의 예상 영향 부문.[그래프 = 중기중앙회]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 28.7%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 28.3% △투자자금 부족 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 19.3% 순으로 조사됐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 34.0% △생산설비 노후화 27.3% △시스템 도입 및 관리 24.3% △낮은 생산성 18.3% 등이 꼽혔다.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중소기업의 12.7%가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72%)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 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 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 26.7% △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 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 14.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과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발굴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