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축산농가에 피해를 입히는 동물감염병 20종을 선정해 연구개발(R&D)을 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주요 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제6차 바이오특별위원회에서 ‘동물감염병 연구개발(R&D) 추진전략’을 공동 발표하고 R&D 투자체계 정립, 범부처 협력모델 구축과 민간 R&D 역량을 강화한다.
이번에 발표한 추진전략은 부처별로 각각 투자하고 있는 동물 감염병 분야 연구개발 사업의 체계적 관리와 민간의 연구역량 강화를 통한 동물감염병 대응체계 혁신을 위해 마련됐다.
동물감염병 분야는 농식품부, 과기정통부, 농진청 등 여러부처에서 연구가 진행돼 왔으나,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AI)·구제역 위주로 추진돼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다양한 동물감염병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그동안 투자가 집중된 AIㆍ구제역 외에도 시급성, 파급효과, 기술난이도 등을 고려한 중점 추진 동물감염병(20개) 예비 질병을 선정해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고 신규사업 기획을 추진한다.
또 질병별로 민간(산업화)과 정부(기초ㆍ원천)의 강점을 고려해 민간과 정부가 주도할 동물감염병 유형을 구분하고, 방역 전 주기(사전 유입 차단→사후관리)에 연구개발 성과가 활용될 수 있도록 단계별 핵심기술을 발굴해 투자할 예정이다.
범부처 협력모델도 구축하고 민간 연구역량 강화한다. 동물감염병 주관부처인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하는 ‘범부처 동물감염병 R&D 협의체’를 강화한다. 또한 민간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고가 장비와 실험(BL3/ABL3급 이상)돠 실증 시설의 공동 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강건기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은 “이번 바이오특위에서 의결된 추진전략은 앞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 및 조정 시 활용되고, 세부 이행계획 수립을 통해 반영된다"고 말했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동물감염병 대응은 인간, 동물, 환경 등 생태계의 건강이 모두 연계돼 있다는 원헬스(One Health) 차원의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며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범부처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주요 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제6차 바이오특별위원회에서 ‘동물감염병 연구개발(R&D) 추진전략’을 공동 발표하고 R&D 투자체계 정립, 범부처 협력모델 구축과 민간 R&D 역량을 강화한다.
이번에 발표한 추진전략은 부처별로 각각 투자하고 있는 동물 감염병 분야 연구개발 사업의 체계적 관리와 민간의 연구역량 강화를 통한 동물감염병 대응체계 혁신을 위해 마련됐다.
동물감염병 분야는 농식품부, 과기정통부, 농진청 등 여러부처에서 연구가 진행돼 왔으나,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AI)·구제역 위주로 추진돼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다양한 동물감염병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그동안 투자가 집중된 AIㆍ구제역 외에도 시급성, 파급효과, 기술난이도 등을 고려한 중점 추진 동물감염병(20개) 예비 질병을 선정해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고 신규사업 기획을 추진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6/20191206160522350445.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로고[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
강건기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은 “이번 바이오특위에서 의결된 추진전략은 앞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 및 조정 시 활용되고, 세부 이행계획 수립을 통해 반영된다"고 말했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동물감염병 대응은 인간, 동물, 환경 등 생태계의 건강이 모두 연계돼 있다는 원헬스(One Health) 차원의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며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범부처의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