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 간 국회 정상화 방안 합의가 불발되자 문희상 국회의장은 9∼10일 본회의에서 예산안과 패스트트랙 법안, 민생 법안을 상정해 표결에 부치겠다고 밝힌 상태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한국당은 스스로 의회정치의 낙오자가 되기를 선택했다"며 "이제 더는 지체할 수 없다. 4+1 협의체 논의를 더욱 진전시켜 검찰과 선거제도 개혁으로 정의로운 나라, 품격 있는 정치를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후 민주당 전해철·바른미래당 채이배·정의당 이정미·민주평화당 박주현·대안신당 장병완 의원은 실무 협의를 하며 예산안 수정안 및 처리 방향을 논의했다.
정기국회 본회의가 9일 오후 2시로 예정돼 있고, 시트 작업에 통상 24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공직선거법 개정안 협상을 담당하는 실무단은 이날 별도로 가동되지 않는다.
다만 각 당에서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선거법 개정안의 '지역구 225석·비례대표 75석' 외에 대안으로 거론되는 '지역구 240석·비례대표 60석', '지역구 250석·비례대표 50석' 등에 따른 각각의 선거구 획정 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본 후 8일 모임에서 입장을 교환할 예정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 등 검찰개혁 법안과 관련해서도 여야 4+1은 실무 협의를 가동하는 대신 내부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다.
여야는 이 같은 실무 협상 및 각 당 검토 작업 등을 거쳐 8일 오후 원내대표급 4+1 협의체 회의에서 최종 단일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기국회 종료 전날인 9일 본회의에는 내년도 예산안, 선거법 개정안, '민식이법' 등 어린이 교통안전 강화 법안, 유치원 3법이 상정될 전망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7/20191207181502535893.jpg)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왼쪽)과 전해철 의원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