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스진(劉世錦) 중국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경제위원회 부주임이 최근 내놓은 중국 경제에 대한 진단이다. 성장률 6%가 깨질 수는 있지만 중국 경제총량이 워낙 큰 만큼 자신감있다는 발언으로 읽혀진다.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류 부주임은 지난 7일 중국경제체제개혁 연구회에서 주최한 '제17회 중국개혁포럼' 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류 부주임은 오는 2020~2025년 중국 경제성장률이 5~6%에 그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오는 2020년까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과 1인당 소득을 각각 2010년 수준의 두 배로 높여 전면적 '샤오캉(小康, 풍족하고 편안한)' 사회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는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다만 류 부주임은 중국 경제 성장에서 신·구 성장동력 교체에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의 성장 동력이었던 인프라, 부동산, 수출 경기가 둔화한 만큼, 새로운 성장 잠재력을 키워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9/20191209091115834237.jpg)
류스진 정협 경제위원회 부주임. [사진=중국인민망]
최근 중국에선 내년 중국 경제 전망을 놓고 '바오류(保六)'냐, '포류(破六)'냐, 즉, 성장률이 간신히 6%대를 유지하느냐, 5%대로 떨어지느냐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중국 경제 성장률은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8%, 7%, 6%대로 떨어졌다. 올 3분기 성장률은 6%로, 분기별 성장률을 발표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약 27년 만에 최저였다.
이대로라면 내년에는 5%대 성장률이 불가피하다는 게 중국 안팎 시장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미·중 무역전쟁, 공급측 개혁 여파로 경제 여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성장률마저 6% 아래로 추락하면 중국 경제가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6% 성장률을 무조건 사수해야 한다는 얘기다.
반면, 과도한 경기부양책이 부채급증, 부동산 폭등 같은 리스크만 키운 만큼, 굳이 6% 성장률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러한 가운데 이달 중순 열릴 것으로 보이는 중국 최고위급 경제정책회의인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내년 성장률 목표치를 약 6%, 그러니깐 6% 내외로 설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6~6.5%)보다 목표치를 더 낮춰 사실상 6%대 붕괴를 용인할 수 있다는 얘기다.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중국 정부의 내년 거시경제 정책방향이 확정된다. 공식적인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월에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에서 공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