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일 충남도의원 [사진=충남도의회제공]
김동일 도의원(사진)이 2일 “도는 혁신도시 관련 공공기관 이전에 다각적으로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성명을 통해 “충남의 염원이었던 혁신도시 지정이 이루어졌다. 충남의 혁신도시는 어느 한 지역의 수고와 노력이 아닌 충남도민 전체가 함께 이룩한 일이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도는 혁신도시 지정에 혁신지구를 내포로 지정한다고 하더라도 공공기관이전에 대해 무조건 이전지역을 내포로만 유치하려는 것이 과연 민주적이고 효과적일지 충남 15개 시군의 도민들이 지금 어떤 심정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파악을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120여 개의 공공기관 중에 충남이 얼마만큼 기관 유치를 할 수 있을지 아직은 알 수 없다. 현재 10곳 정도의 공공기관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내포신도시에 모든 공공기관을 유치한다는 전략으로 하다 보니 오히려 공공기관 유치에 폭을 좁히게 되어 타 광역시·도와의 경쟁에서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는 여러 시군들의 공공기관 이전 경쟁에 대하여 무리하게 조정하려 하거나, 이러한 시·군의 의견과 주장을 묵살하지 말아야 한다”며 “그것이 오히려 내포신도시와 함께 시·군이 함께 혁신도시 지정을 이끌어 냈던 수고에 대한 상생이고 발전전략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현재 혁신도시 시즌2를 준비하고 있는 다른 시·도의 움직임이나 방향을 열린 시각으로 살펴보기를 바란다”며 “내포신도시에 혁신도시 지정을 반대한다고 생각하지는 말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양승조 지사의 혁신도시 지정에 대한 명분으로 항상 이야기하고 전략적으로 내세웠던 부분이 ‘세종시 출범에 가장 큰 기여에도 사회적 경제적손실로 도민 상실감이 고조됐다’는 것이었다”며 “이렇게 볼 때 공주시는 세종시 출범 당시 면적의 8.1%, 인구 5800여명, 한국영상대학교를 비롯한 많은 교육기관 및 남양유업을 비롯한 기업, 역사유적 등이 편입됐고 지난 8년간 젊은 층을 중심으로 근 2만여 명이 빠져나가는 인구소멸도시가 돼버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내포신도시보다 오히려 선호하거나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시·군의 입지가 있을 수 있다”며 “내포신도시를 적합하게 생각하지 않는 공공기관이나 다른 곳을 선호할 수 있는 공공기관에 대한 공주시 유치”를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