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15/20210215161853255384.jpg)
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한 고(故)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사진. [사진=정세균 국무총리 페이스북]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백기완 선생님의 타계를 진심으로 애도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임은 가셨어도 임을 위한 행진은 결코 멈추지 않겠다"며 "당신은 불의에 맞서 물러서지 않고 돌진하던 용맹한 투쟁가였고
민중의 아픔을 현장에서, 거리에서, 광장에서 끌어안던 우리 시대 큰 어른이자 참 스승이었다"고 적었다.
이어 "선생께서 피워 올린 민주주의와 통일에 대한 뜨거운 염원 잊지 않겠다"며 "앞서서 걸어오신 청정한 걸음 살아있는 후학들이, 후배들이 뒤따르겠다"고 약속했다.
또 "'쓰러질 것만 같아도 곧장 앞으로' 선생님 뜻 받들어 평화 통일 한반도의 길을 열어가겠다"며 "부디, 영면하소서"라고 덧붙였다.
백 소장은 지난해 1월 폐렴 증상으로 입원해 투병 생활을 하던 중 이날 오전 향년 89세로 영면했다.
그는 1932년 황해도에서 태어나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랫말의 모태인 장편시 '묏비나리'의 원작자로 알려졌다.
백 소장은 1964년 한·일 회담 반대 운동에 참여하고,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 시절에는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다. 이후 1974년에는 긴급조치 1호의 첫 위반자로 옥고를 치렀다.
또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제헌의회파(CA)' 그룹 추대로 출마했다가 이른바 '양김(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후보단일화를 호소하며 사퇴하기도 했다.
고인의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며, 발인은 오는 19일 오전 7시다. 유족들은 고인의 생전 유언에 따라 조화는 받지 않기로 했다.
이어 "선생께서 피워 올린 민주주의와 통일에 대한 뜨거운 염원 잊지 않겠다"며 "앞서서 걸어오신 청정한 걸음 살아있는 후학들이, 후배들이 뒤따르겠다"고 약속했다.
백 소장은 지난해 1월 폐렴 증상으로 입원해 투병 생활을 하던 중 이날 오전 향년 89세로 영면했다.
그는 1932년 황해도에서 태어나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랫말의 모태인 장편시 '묏비나리'의 원작자로 알려졌다.
백 소장은 1964년 한·일 회담 반대 운동에 참여하고,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 시절에는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다. 이후 1974년에는 긴급조치 1호의 첫 위반자로 옥고를 치렀다.
또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제헌의회파(CA)' 그룹 추대로 출마했다가 이른바 '양김(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후보단일화를 호소하며 사퇴하기도 했다.
고인의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며, 발인은 오는 19일 오전 7시다. 유족들은 고인의 생전 유언에 따라 조화는 받지 않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