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뉴스]
이에 따라 요양병원·요양시설의 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약 37만6000명은 당장 이달부터 이 백신을 맞게 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지난 10일 연 '2021년 제6차 예방접종전문위원회(전문위)' 심의를 통해 만 65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예방접종 시행 계획을 11일 최종 확정했다.
전문위는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수행된 실제 고령층 대상 평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코로나19 확진자의 입원과 중증 진행을 예방하는 효과가 입증됐다며 이를 감안,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영국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70세 이상 고연령층에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은 비슷한 수준의 질환 예방 효과를 보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35일 후 백신 효과는 73%, 화이자 1차 접종 후 28~34일 후 61~70%로 파악됐다. 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후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위험은 37%,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후 입원 위험은 43% 감소했다.
스코틀랜드 연구 결과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28∼34일 뒤 입원 예방 효과가 최대 94%로 나타났다. 화이자 백신은 최대 85%였다.
추진단은 이번 심의 결과를 토대로 이달 안에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만 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약 37만6000명에 대해 예방접종을 시행키로 했다.
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공급 상황과 효과를 고려, 2차 접종 예약일 기준을 현재 8주에서 10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현행 8∼12주 접종 간격이 10∼12주로 바뀌는 것이다.
이는 지난 2월 10일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전략자문그룹(SAGE)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간격이 길수록 효과가 높아진다고 권고한 점을 반영한 결과다.
한편 전문위는 1차 접종 후 코로나19 확진된 사람과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를 보인 사람에 대한 2차 접종 세부 실시 기준도 심의했다.
1차 접종자 중 코로나19에 확진된 경우 2차 접종을 실시하되, 격리 해제 후 시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만약 확진자가 수동항체치료를 받은 경우 치료 뒤 최소 90일 이후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이외에는 백신별 접종 권장 간격에 맞춰 접종을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단 회복 후 접종은 개인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진행해달라는 것이 전문위 측 당부 사항이다.
1차 접종자 중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있는 접종 대상자의 경우 2차 접종을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른 플랫폼 백신으로 교차 접종을 하면 효과가 있다는 근거가 부족한 데 따른 조치다.
아울러 전문위는 해외유입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차단을 위해 직업 특성상 해외 출입이 잦지만 자가격리 예외를 적용받는 항공 승무원을 2분기 예방접종 대상에 포함했다. 접종 대상은 국내 항공사 소속 국제선 여객기 승무원 등 약 2만명이다.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 심의 결과에 따라 올해 2분기 예방접종 계획을 수립해 다음 주 발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